[중국사]위진남북조시대와 위 효문제 정책에 대하여
- 최초 등록일
- 2006.09.12
- 최종 저작일
- 2006.01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위 효문제의 정책을 중심으로
5호16국시대와 위진남북조시대까지의 내용입니다
목차
Ⅰ.서진의 통일과 멸망․5호 16국시대의 도래와 변천
ⅰ.서진의 짧은통일과 멸망․그 의의
ⅱ.5호의 화북진출과 16국의 분립
Ⅱ.위․진 남북조시대
ⅰ.북위의 화북통일과 호한체제
ⅱ.효문제의 정책
ⅲ.남조의 정권교체와 그 성격
ⅳ.남북조의 귀족사회형성과 특성
Ⅲ.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진의 통일과 멸망․5호 16국시대의 도래와 변천
ⅰ.서진의 짧은통일과 멸망․그 의의
삼국의 분립은 반세기 만에 막을 내리고 위(위)에서 나온 진(진)에 의하여 잠시 통일되었다. 건국초기의 위나라는 참신한 기품과 숭무(숭무)의 정신이 넘쳐있었다. 그러나 호족(호족)세력이 확대되고 그 위에 구품관인법(구품관인법)의 실시로 위나라 왕실은 물론 건국의 공신도 점차 귀족화하였다. 이리하여 조정을 지탱하던 용감한 근위무사는 문약한 문관에게 밀려나고 왕실의 내분이 계속되었다. 이 틈을 이용하여 권신 사마의(사마의)가 정권을 장악한 후 호족세력의 지지를 기반으로 민심을 수습하는 한편 촉(촉)을 멸하고(263) 요동의 공손씨(공손씨)를 정벌하니 사마씨(사마씨)의 지위는 확고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그의 손자 사마염(사마염)은 위로부터 선양(선양)의 방법으로 진을 건국하여는데, 이가 무제(265)이다. 왕실의 약화현상은 촉․오 두나라에서도 비슷하게 일어나고 있었다. 촉은 유비의 아들 유선(유선)때 제갈량(공명)의 오와 연합하여 출원을 회복하려고 위와 싸웠으나 성공하지 못하였고 제갈량이 죽은 후 국력이 쇠하여 위에 병합되었다.(263). 한편 고립된 오나라도 서진 무제의 침입으로 병합되니 삼국은 60여년만에 서진에 의하여 다시 통일되었다(280). 그러나 진(진:서진)정권은 내외에 어려운 문제를 안고 출발하였다. 먼저 삼국을 통일하였다고 하나 지방에 세력을 잡고 있던 호족세력을 완전히 장악하지 못하였다. 진의 건국은 후한이 건국될때에 호족의 지지를 받고 국가를 세운 형세와 매우 비슷하였다. 즉, 호족의 비호 아래 위․진선양(위․진선양)을 성공시켰기 때문에 이들 호족을 보호하는 정책을 취할 수 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후한 이후, 지방에 세력을 가지고 있던 호족은 중앙정계에 진출하여 고위직을 독점하면서 귀족세력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또 진의 무제는 통일을 달성하자 지나치게 자신감을 갖고 방종에 빠져 사회적으로 긴장감이 해이해졌다. 그리하여 상비군을 축소하여 주군에 소속된 군대를 해산하고 대신 왕자들을 지방의 요지에 분봉하는 봉건제를 실시하여 그들에게 강력한 군사력을 주어 왕실의 울타리로 삼으려 하였다
참고 자료
-영웅의 역사9권, 진순신, 오자키 호자키 편, 솔, 2000
-중국오천년사, 김영진 역편, 대광서림, 2001
-중국사, 신승하 지음, 대한교과서, 1998
-동양사개론, 신채식 저, 삼영사, 1993
-중국사개설, 마쯔마루 미찌오(송환도웅)외 지음, 한울 아카데미,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