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구조론은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로부터 시작되었다. 대륙 이동설은 대륙을 움직이는 힘을 설명하지 못해 사장되었지만, 1950년대 들어 부활하여 해저 확장설과 함께 판구조론으로 이어지며 지구과학에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다. 여기서는 판구조론의 기본 개념, 판구조 운동, 판구조론의 배경 등에 관해 간략하게 알아보려고 한다.
2. 본 론
(1) 대륙이동설
베게너(A. Wegener, 1880 - 1930, 독일의 기상학자)는 유사한 해안선들을 연결함으로써 세계의 대륙이 이전에는 하나의 거대한 대륙 판게아(Pangaea)를 이루고 있다고 생각하고, 판게아가 중생대 시작 무렵에 분리되기 시작하였다는 생각을 하여 대륙 이동설을 발표하였다. 당시 대부분의 학자들은 대륙이 이동했다기보다 육교로 연결되어 있었다는 육교설을 주장했다. 하지만 베게너는 대륙과 해양에서 지각구조의 기본적인 차이와 지각평형설의 원리를 중시하여 육교설을 배척하고 대륙 이동설을 창시했다.
(2) 대륙이동설의 증거
▷두 대륙의 해안선의 굴곡이 비슷
▷양 대륙에서 유사한 화석을 발견
▷현재도 같은 종류의 달팽이나 지렁이가 양쪽 해안에 살고 있음
▷산맥들이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으며, 암석이 같음
▷두 대륙 사이의 지질 구조(조산대)가 연속됨
▷동시에 빙하 작용이 일어남
▷고지자기로 측정된 두개의 극이동의 궤도가 대서양과 아프리카를 지남
(3) 맨틀대류설
맨틀은 고온과 고압 상태이므로 유동성이 있는 고체일 것이라고 추측된다. 고온의 핵에서 맨틀로 전달된 열과 맨틀에서 방사성원소에 의하여 발생한 열은 열전도율이 작은 맨틀을 빠져 지표로 나오기 어려워서 그 자리를 축적하게 된다. 그리하여 맨틀 상하부의 온도차가 충분히 커지면 매우 느리기는 하지만 맨틀 자체가 대류하게 된다. 이같이 상하부의 온도차에 의하여 맨틀이 대류 한다는 설을 맨틀 대류설이라 한다.
참고자료
· ∙프랜시스 P. 셰퍼드, 해양 지질학,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1
· ∙허성회 외 2명, 해양학 개론, 태화출판사, 1993
· ∙리처드 A 데이비스, JR, 일반 해양학,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6
· ∙김성균, 고체지구 물리학, 교학 연구사, 1996
· ∙양성기 외 2명, 해양과학, 문운당, 1997
· ∙최성희, 새로운 지구과학, 한빛 지적 소유권 센터, 1998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