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역사]백년전쟁에 대하여
- 최초 등록일
- 2006.08.23
- 최종 저작일
- 2006.08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백년전쟁에 대하여 조사한 요약자료입니다.
목차
1. 백년전쟁이란?
2.백년전쟁의 원인
1) 왕위계승권
2) 플랑드로 지방의 지배권 문제
3)봉건적 토지소유의 복잡성
3.백년전쟁의 경과
4.백년전쟁의 결과
참고자료
본문내용
1. 백년전쟁이란?
영국과 프랑스왕의 전쟁으로 프랑스를 전장(戰場)으로 하여 여러 차례 휴전과 전쟁을 되풀이하면서, 1337년부터 1453년까지 116년 동안 단속적(斷續的)으로 계속되었다. 이 전쟁은 처음에는 영국과 프랑스 두 왕가 사이의 봉건적 전쟁으로 시작되었으나, 전쟁이 계속됨에 따라 양국민 사이의 민족 의식이 고양되어 싸움은 점차 민족, 국가간의 전쟁으로 변모하였다.서양의 근대화는 프랑스와 영구을 중심으로 이러어진다. 산업혁명으로 인한 산업의 근대화는 영국을 중심으로, 시민혁명을 통한 근대화는 프랑스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또 양 국가는 다른 유럽국가보다 빠르게 국민국가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것듫은 양국 모두 시기적으로는 백년전쟁이후, 전쟁을 통해 근대적 요소들을 얻어내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본고는 영국과 프랑스가 rmseotki회에서 유럽의 선두주자의 역할을 하고, 근대적 역사발전 요소들을 보다 QKffl 이루어 낼 수 있었던 이유를 백년전쟁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백년전쟁은 단순핱 양국간의 전쟁이 아니라, 기사로 대표되는 중세 전쟁 양식의 종말과 국가간의 지리한 대립으로, 국민적 감성을 이끌어내는 중세말의 대표적 전쟁이었다.
2.백년전쟁의 원인
1) 왕위계승권
프랑스 왕조의 대가 끊기자 영국과 프랑스는 왕위 계승권을 둘러싸고 대립을 벌이다 프랑스의 뜻대로 왕위가 계승되자 두 나라는 불편한 관계가 되었다.
프랑스의 샤를 4세가 아들을 낳지 못하고 사망함으로써 프랑스 카페왕조의 직계 대가 끊기자 영국에서는 여성의 아들은 왕위에 오를 수 있다고 주장하여 필리프 4세의 외손자 에드워드 3세를 왕으로 내세웠고 프랑스에서는 영국 국왕이 프랑스 왕까지 겸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필리프 4세의 조카 발루아 백작 필리프를 내세워서 결국 프랑스의 발루아 백작 필리프가 왕위를 계승받았다.
2) 플랑드로 지방의 지배권 문제
경제력이 풍부한 플랑드로 지방에 대한 지배권을 선점하려고 두 나라가 서로 대립을 하고 있었다.
플랑드로 백작령은 프랑스 왕의 봉신이었으나 막강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독립적 군주나 다름없는 권력을 행사하고 있었는데 이 곳에서 생산되는 모직물의 원료인 양모를 영국에서 수입하고 있었으므로 플랑드로 지방은 영국과 이해관계를 공유하고 있었다. 이에 프랑스 국왕은 플랑드로 지방의 경제력을 자신의 통제권 아래 두고 싶어 했다. 그즈음 플랑드로 지방에서 수공업자들의 반란 발생을 계기로 프랑스 국왕이 플랑드로 지방에 대한 간섭을 강화하려고 했고 영국국왕은 이를 묵과할 수 없었기 때문에 두 국왕의 관계는 더욱 악화가 되었다.
참고 자료
버나드 로 몽고메리,『전쟁의 역사 I』, 책세상, 2000
다니엘 리비에르,『그림으로 보는 프랑스 역사』, 까치, 1995
앙드레 모로아,『영국사』, 기린원, 1991
앙드레 모로아,『프랑스사』, 기린원, 1991
에릭 두르슈미트,『아집과 실패의 전쟁사』, 2001
배영수외,『서양사 강의』, 한울아카데미, 2000
로저 프라이스,『혁명과 반동의 프랑스사』, 개마고원, 2001
헤르네르트 네테, 『잔 다르크』. 한길사,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