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역사]변법운동, 과정,개혁 목표,미친영향 등등
- 최초 등록일
- 2006.08.10
- 최종 저작일
- 2006.03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소개글
변법자강운동에 대해서 자세하게 썻습니다.
당근 에이뿔맞은 자료이구요..
잘봐주세요.
목차
Ⅰ. 서론
Ⅱ. 변법운동의 배경
1. 양무운동의 한계와 변법론의 대두
2. 청일전쟁후 위기의식의 증대와 변법운동으로의 결집
Ⅲ. 변법운동의 시도와 좌절
1. 호남성에서의 개혁
2. 중앙에서의 개혁
3. 변법운동의 목표
4. 변법운동의 좌절
Ⅳ. 변법운동의 실패 요인
Ⅴ. 변법운동이 미친 영향
본문내용
우리가 이번 시간에 다룰 내용은 변법운동이다. 변법운동은 청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서구식 정치제도(의회제, 헌법)의 도입을 (정치적)목표로 한 개혁운동이다. 종적으로 본다면 양무운동을 잇는 자강운동의 후반 단계라고도 하겠다. 이 변법운동에 관한 시기는 대체적으로 청일전쟁이 끝난 1890년대 중반부터 1911년 신해혁명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10여년에 해당된다.
Ⅱ. 변법운동의 배경
1. 양무운동(洋務運動)의 한계와 변법론(變法論)의 대두
1860년대 중반 이후 추진된 양무운동이 궁극적으로 부국강병이라는 자강의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는 인식은 양무운동이 한창중이던 때부터 일부 식자층에 번져갔다. 1874년~1875년의 일본의 대만점령사건부터 시작된 대외적 위기를 맞아 정부가 효과적으로 이에 대처할 수 없게된 상황에서 대만사건, 청불전쟁, 청일전쟁의 굴욕적 타협과 패배가 이러한 인식의 계기가 된 것이다.
이런 종래의 군사기술 수용 위주의 고식적인 양무사업만으로는 부국강병 내지 근대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는 입장에서 양무운동의 한계를 비판하여 서구의 정치제도의 도입 즉 제도적 개혁을 주장한 변법론이 청불전쟁에서 패배로 끝난 후 1880년대 후반부터 나오게 된다.
청일전쟁 후 공거상서로 변법파의 정치활동이 본격화되기 전 단계의 변법론자로서는 걍유위 외에 진치, 정관응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그 개혁론에서도 도기론을 빌어 서구의 정치제도의 도입을 합리화 시킴으로서 변법파와 궤를 같이 하고 있을 뿐 아니라 실제 강유위의 정치활동 과정에서도 긴밀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 밖에 비록 정치활동상 관련을 갖지 않았더라도 서양부강의 근원을 군비나 기기 이상의 것, 곧 의회제를 포함한 정치제도에서 구하는 명확한 논의를 시작한 탕진, 진규를 초기 변법론자로 거론 할 수 있다.
이러한 탕진, 진규, 정관응, 진치의 변법 논의는 강유위라고 변법운동가를 체계화되고 개혁운동의 이론으로서의 기능을 하게 해주었다.
참고 자료
강좌 중국사 Ⅵ, 지식산업사, 서울대학교 동양사학연구실, 1990
근대중국 : 개혁과 혁명(하), 대명출판사, 신승하,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