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GBN 방송국
- 최초 등록일
- 2006.07.31
- 최종 저작일
- 2006.04
- 2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 회사소개
: (주)강원방송GBN은 1994년 3월 7일 강원도의 1개시(춘천시)와 5개군(홍천군,화천군,철원군,양구군,인제군)에 방송하는 유일한 종합유선방송국(CATV)이며, 프렌차이즈를 기반으로 하는 독점 사업자이다.
GBN은 시대 흐름에 부응하고 지역 방송 문화발전과 함께 커뮤니케이션의 중추적인 역할을 다하고자 설립되었다.
현재 GBN은 20만 가입자에 케이블을 24시간 송출하고 있으며, 2004년 5월에 실시한 인터넷 자체브렌드인 ■■강원플러스넷■■은 15,000가구가 넘는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고, 앞으로 케이블과 인터넷을 하나의 상품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가입자수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목차
연 혁
조 직 도
GBN의 사업분야 및 VISION
GBN의 케이블방송 소개
케이블TV의 상품정보
서비스지역안내
강원플러스넷
강원플러스넷 요금제도
본문내용
GBN 편성 분석
: 케이블 채널에서의 편성은 채널간의 편성과 채널 내의 편성으로 이야기 할 수 있다.
그러나 편성에 관한 이야기를 하기에 앞서 편성에 대하여 알아보자.
편성이란?
: 방송은 편성으로 말한다. 이 때, 방송편성은 사실상 거의 모든 방송활동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좋은 방송의 궁극적 목표는 양질의 다양한 프로그램편성에 있다. 보편적이고 종합적인 방송을 추구해 온 이제까지의 방송편성정책도 이러한 목표를 추구하기 위한 제도적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방송사 수준에서의 방송전략은 방송내용의 전달과 관련하여 무엇을(방송내용) 누구에게(방송대상) 언제(방송시간) 어떤 형식으로 얼마나(방송시간) 들려주고 보여주느냐를 결정하고 배열하는 전체 공정을 뜻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파악될 수 있다. 방송사는 편성의 전략요소로 프로그램기획, 자체제작/외주/구입, 프로그램배열을 포함하여 편성전략을 수립하고 집행한다. 이러한 입장에서의 편성전략은 한 방송사가 방송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결정 또는 계획이며 방송사활동 중 기술부문과 관리부문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편성은 프로그램의 배열이라는 협의로 파악된다. 협의의 편성은 방송될 프로그램을 시간에 따라 배치하는 것이며, 방송편성은 외적으로는 시청자들의 일상적인 생활리듬과 조화를 맞추어 시청유형을 자연스럽게 유발시키고 내적으로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편성기술을 말한다.
다채널이면서 제작, 편성, 송출간의 수직적 분업이 이루어져 있는 케이블방송의 경우 방송편성은 몹시 복잡한 양상을 띤다.
1. 채널간의 편성
채널 간의 편성에 대하여 이야기하면 GBN의 경우를 보면, 채널간의 편성의 기본은 시청자가 보기 쉽고, 기억하기 쉽게 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 하지만 GBN의 편성표를 보면 m-net하면 27번이라고 생각하는 시청자의 의식을 반영하지 않은 채널 편성을 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채널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우리는 리모컨 시대에 살고 있다 해도과언이 아닐 것이다. 리모컨으로 누르기 쉬운 22, 33, 44, 55, 66의 채널에는 좀더 재미있고 유익한 내용을 편성하고 이러한 채널 앞뒤에 프로 그램은 인접 효과를 통해 프로그램 시청을 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GBN의 경우에는 편성에서 어떠한 의도도 느끼기 어렵다. 그리고 홈쇼핑채널의 앞 번호 치중 편성 또한 문제점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