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학]한국의 여성운동사
- 최초 등록일
- 2006.07.28
- 최종 저작일
- 2006.07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한국의 여성운동사에 관하여 시대별로 조사정리한 레포트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본론
1. 고조선 시대의 여인
2. 삼국시대의 여인상
3. 고려의 여인상
4. 조선시대 여인상
5. 개화기의 여성
6. 일제 식민지하
7. 1945년 이후
8. 80년대 이후
Ⅲ.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역사속에서 볼 때 지식인 여성들을 가장 많이 배출한 시대는 조선왕조였다. 조선시대 여성들은 유교적 사회체제의 강화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없는 제약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시대에 비해 문화 방면에서 훨씬 폭넓은 활동을 보이고 있다. 이 시대 여성 가운데서 문학이나 회화에 뛰어난 여성들도 볼 수 있으며, 학문의 깊은 경지를 터득한 여성 성리학자, 여성 실학자들의 문집도 남아 있음은 매우 놀라운 사실이다. 그리고 신분층도 위로는 왕실의 지존한 여성으로부터 아래로는 천인계층의 기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다.
전통시대의 학문과 교육은 정치와 마찬가지로 남성의 전유물이나 다름없었다. 다만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예의 범절을 비롯한 교양의 습득과 가정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제한된 여성교육의 필요성만이 어느 정도 인식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내훈』, 『여사서』등 몇 종류의 여성 교훈서들이 편찬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여성교육에 대해 사회적 인식이 부족하였고 편견도 없지 않았다. 여성들이 글을 많이 배우게 되면 교만한 마음이 생겨 여성으로서의 본분에 충실치 못하게 된다는 관념이 내재되어 있었던 것이다.
여성들은 어떠한 배경에서 지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을까? 첫째로 비록 여성들에게 주어진 교육은 한정되어 있었더라도 글을 습득할 수 있었다는 것은 여성들이 지적 접근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던 것이며 학문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자질이 뛰어난 여성은 온갖 환경의 제약을 극복하고 자발적인 노력에 의해 높은 수준의 지식을 쌓아올려 이름을 떨쳤다. 두 번째로는 유교의 현실주의 사상이다. 유교를 이데올로기로 하는 조선왕조는 가족을 통치의 기본 수단으로 삼았는데 그러한 가운데 여성들은 가족구조속의 일원으로 자신이 처해진 위치를 자각하게 되었다. 어머니로서, 며느리로서, 아내로서 주어진 역할과 책임을 다하다 보니 자기 자신에 대한 존재가치를 깨닫게 되었다. 자신의 처지에 대한 긍정․부정적 의식은 여성 스스로의 자기 계발, 자기 표현을 통해 자아실현을 가능케 하였다.
세 번째로는 한글창제의 업적에 의해서이다. 여성학자들 중에는 한문으로 학문을 연구하고 시를 짓는 경우도 허다하였지만, 한편으로는 한글로 된 문학작품과 일기, 서간문이 대다수 간행되었다. 저자로서나 독자로서 한글을 보존하고 한글의 발전을 추진하였으며 작품을 통해 조선의 문화발전에 공헌하였다.
시, 글씨, 그림, 자수에서 모두 뛰어난 재능을 발휘한 신사임당은 사실주의적 표현을 통해 인간이 추구할 수 있는 섬세함과 아름다움의 극치를 이루어냈다. 그보다 조금 뒤 생을 마감한 허난설헌은 현실에서의 좌절과 갈등을 이상세계를 지향한 시를 통해 비판하고 승화시켜 초월주의적인 정신에 입각한 주옥같은 시를 남겼다.
안동장씨 부인은 17세기에 성리학적 인간됨을 주제로 하는 여러 시문과 그림을 남겨 18세기말 정조임금에게 직접 소개되기도 하고, 당시 체재공은 부녀장의 시가운데서 이와 같은 시를 ......
참고 자료
1. 이송희, 「여성운동사」, 1990, 부산여자대학 여성연구 창간호
2. 이효재, 「한국여성 운동사 100년」, 1998 동덕여대 동덕여성연구 제 3호
3. 김재만, 「전통적 한국 여인상의 연구」, 1976 여성문제연구
4. 이배용, 「한국 전통사회 여성의 삶, 다시 읽기」,2000, 동덕여대 동덕여성연구 제 5호
5. http://www.women.or.kr/history/ - 여성정보화 지원을 위한 여성교류 활성화 시스템
6. 김화경, 『한국의 설화』, 2002, 지식산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