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淵)씨의 유래
▶ 집권과정
-요약
-쿠데타 과정
-연개소문이 영류왕을 죽인 까닭
▶ 대외관계, 대외정책
▶ 김부식과 신채호의 상이한 평가
-野史
-김부식과 신채호의 다른 관점
▶ 연개소문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할아버지는 자유(子遊)이고, 아버지는 태조(太祚)로 이들은 모두 고구려 고위관직인 막리지의 지위에 올랐다고 연개소문의 아들의 묘지인 천남생묘지에 기록되어 있다. 그의 성씨에 대하여 중국측 기록에는 ‘천(泉)’ 또는 ‘전(錢)’이라 하였는데, 이는 연(淵)이 당나라를 세운 이연(李淵)과 같으므로 그것을 피하려고 한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삼국사기》에 그의 성을 천(泉)이라고 한 것은 연개소문에 관한 기사의 전부가 당나라의 서적을 기초로 해서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그의 시조는 ‘샘〔井〕’ 또는 ‘물〔水〕’에서 태어 났다고 한다. 연(淵)이라는 성도 거기에서 유래하였던 것 같다. 샘이나 ‘내〔川〕’ 또는 ‘호수’의 정령을 자신들의 시조와 연계시키고 있음은 고대 동북아시아 제민족의 설화와 신화에 널리 보이는 사실이다. 한편, 《일본서기》에는 그의 이름을 이리가수미(伊梨柯須彌)로 기록하고 있다.
▶ 집권과정 -요약-
그는 성품이 호방하고 의표가 웅위하였다고 한다. 동부(또는 서부라고도 함.) 대인(大人)이었던 아버지가 죽은 뒤, 연개소문이 그 직을 계승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유력 귀족들이 그의 세력과 강인한 기질을 두려워하여 이를 반대하자, 그의 계승을 반대하는 귀족들에게 호소하여 간신히 승인을 받았다. 뒤에 천리장성을 쌓는 최고 감독자가 되었는데, 그의 세력이 커지자 이를 두려워한 여러 대신들과 영류왕이 그의 제거를 모의하였다. 이를 눈치 챈 그는 642년(영류왕 25) 평양성 남쪽 성 밖에서 부병의 열병식을 구실로 귀족들을 초대한 뒤, 정변을 일으켜 이들을 모두 죽이고 왕궁에 돌입하여 왕을 시해하고 보장왕을 세웠다. 그리고 스스로 대막리지가 되어 대권을 장악한 뒤, 반대파에 대한 탄압과 제거를 감행하였다. 당시 안시성의 성주는 그의 반대파(양만춘은 연개소문과 같이 수련한 조의선인 출신 이었으나, 연개소문이 영류왕을 축출한 것과 관련하여 갈등을 겪게 되었다)였으므로 이를 공격하였다. 그러나 안시성의 공방전은 승패가 나지 않아 양자간에 타협으로 일단락 되었다. 결국 연개소문은 안시성주의 지위를 계속 인정하였고, 그 대신 안시성주는 새로운 집권자인 연개소문에게 승복하였던 것 같다.이 안시성주와의 협상이 보여주듯이, 연개소문의 집권은 고구려 하대의 귀족연립정권체제를 근본적으로 타파하였던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고구려 하대에는 실권자의 직위인 대대로를 5부 귀족들이 호선하였다. 3년에 한번씩 선임하였는데 연임도 가능하였다. 그런데 대대로 선임 때에 귀족간의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여의치 않으면 각기 사병을 동원하여 무력으로 결정지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