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문법론]중세국어 어말어미 중 정동사어미(종결어미)
- 최초 등록일
- 2006.07.08
- 최종 저작일
- 2006.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중세국어 어말어미 중 ‘정동사어미(종결어미)’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안병희 ․ 이광호 공저 (1990), 『중세국어문법론』을 주로 요약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정동사 어미
2.1. 설명법 어미
2.2. 감탄법어미
2.3. 의문법 어미
2.3.1 ‘라’체 의문법어미
2.3.2 반어의 의문법
2.4. 공동법어미
2.5. 명령법어미
2.5.1 청원의 명령법
2.6. 약속법어미
2.6.1 허락법어미
3. 나오며
4. 참고문헌
본문내용
2.3. 의문법 어미
중세국어의 의문법 체계는 현대국어와 비교해 볼 때 특이한 점이 많다. 중세국어에서는 형태상으로 두 가지 의문문이 있다. 可否의 판정을 요구하는 의문문과 ‘누, 므슴, 엇뎨, 엇던, 몃’등 의문사를 제시하여 그 의문사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는 의문문이 그것이다. 전자의 경우 의문문의 종결어미 ‘-가’가, 후자의 경우 의문문의 종결어미 ‘-고’가 그 기능을 담당하였다. ‘-가’의 경우를 판정의문, ‘-고’의 경우를 설명의문이라 한다. 그러나 15세기 국어에 설명의문문에도 ‘-가’가 드물지만 나타난다.
5) a. 판정의 `-가` : 가샴 겨샤매 오 다리잇가
b. 설명의 `-고` : 이 엇던 光明고
몃里 녀시니고
c. 설명의 `-가` : 世尊하 내 어미 五百僧齊호 化樂天에 엇더 업스니가
2.3.1 ‘라’체 의문법어미
‘라’체의 경우,‘ -가, -고’에서 유래된 판정의문의‘-어’, 설명의문의‘-오’가 쓰이는데 이것은 선어말어미 ‘-니-’,‘-리-’와 결합하여 ‘-녀(니어, 니여), -뇨(니오), -려(리여,리아,리야), -료(리오) 등 여러 가지 종결어미로 나타난다.
한편‘라’체의 의문법에 동명사어미‘-ㄴ, -ㄹㆆ’과 결합된‘-가, -고’및‘-다’의 의문문이 있다. 곧 ‘-ㄴ가, -ㄹㆆ,-ㄴ다’등은 간접화법의 의문문을 형성하거나 화자의 내심에 있는 의문을 표시하는 간접적인 의문을 나타낸다. 후자의 ‘-ㄴ다’의 경우는 상대가 의도를 가지고 설명, 판정하기를 요구하는 의문이 표시된다. 따라서 이 의문‘-ㄴ다’형은 설명이나 판정의문의 구별이 없고 반드시 주어가 2인칭 대명사 ‘너, 그듸’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 자료
고영근(2005), 개정판『표준 중세국어문법론』, 탑출판사
안병희 ․ 이광호 공저 (1990),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