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전문학사
향가 처용가와 별곡처용가의 비교
목차
1.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 본론
(1) 한국의 사회적, 문화적 중세로의 전환
(2) 처용설화
(3) 신라향가 <처용가>
(4) 별곡 <처용가>
(5) 신라향가 <처용가>와 별곡 <처용가>의 비교
3.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처용’이란 이름이 들어간 노래에는 신라 향가 <처용가>, 별곡 <고려 처용가>, 그리고 <잡처용>의 셋이 있다. 물론 뒤의 두 노래는 신라 향가 <처용가>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런데 <처용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고려 처용가>에 대해서는 몇 편의 연구만 있고, 려중동, 고려처용 노래 연구, 고려 시대의 언어와 문학, 형설출판사, 1975.
김상억, 처용가고, 국어국문학 72 ․ 73 합병호, 국어국문학회, 1976.
이명구, <처용가> 연구, 고려가요 연구, 새문사 1982.
김순진, 고려처용가와 신명, 고려시가의 정서, 김대행편, 개문사. 1985.
졸 고, 처용가고, 여남어문학 제 16집, 영남어문학회, 1989.
박노준, <고려처용가>의 형성과정, 고려가요의 연구, 새무나, 1990.
서대석, 고려<처용가>의 무가적 검토, 한국고전시가 작품론1, 집문당, 1992.
<잡처용>에 대해서는 단편적인 언급은 있으나 단독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별곡의 하나로서 <고려 처용가>는 조선시대에 발간한 ‘악학궤범’과 ‘악장가사’에 실려 있는 작품이며, 후대인 조선조 시대에 와서 처용춤으로 바뀌어져 노래는 없어지고 춤만이 남아 있는 등 변화가 많고 전승기간이 오랜 작품이다. <고려 처용가>는 신라 향가 <처용가>에서 비롯되기는 했지만 시대에 따른 사회․문화적 배경에 의해 다른 특징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신라 향가 <처용가>의 해석을 위한 목적으로만 <고려 처용가>를 연구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으며 <고려 처용가>가 지닌 의미를 그 시대 상황을 고려하여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2) 연구방법
본고에서는 향가가 향유되어지던 시대에서 별곡이 향유되어지던 시대로의 전환, 즉 한국사회가 중세로 전환되는 시대를 살펴봄으로써 별곡 발생의 배경을 살피고 신라 향가 <처용가>와 별곡 <고려 처용가>를 살펴본 후 비교하여 보겠다.
참고 자료
이재영, 고려<처용가>의 놀이적 성격 고찰, 서강대박사학위논문.
정은미, 처용가의 무가적 성격 재고, 사림어문비평제 6호.
최용수, <처용가>에 대하여, 배달말 제 19호, 1994.
박노준, 속요의 연구와 문헌고증
정병욱, 문학으로본 처용가, 한국고전시가론, 1981.
김수경, 고려<처용가>의 전승과정 연구, 이화여대박사학위논문,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