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전기 가사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와 함께 전기 가사의 효시라 할 수 있는 고려의 서왕가와 전기 가사의 대표작인 상춘곡, 면앙정가에 대해 살펴 보았습니다.
자료의 출처가 명시되어 있으며 참고문헌의 페이지도 상세히 기록해 놓았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전기 가사의 특징
2.1. 서왕가
2.2. 상춘곡
2.3. 면앙정가
3. 나가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국문학 장르 전반에서 가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하다. 운문과 산문의 중간 역할의 가사는 고려 말 때에서 최근까지 쓰였다. 시기적으로도 오래되었으며 편수로도 천여 편에 이르는 방대한 문학이다. 이 가사의 내용은 유교와 도교의 사상이 많고 불교의 얘기도 담고 있다.
가사는 고려 후기에 발생하여 개화기까지 존속한 시가양식이다. 최초의 작품으로는 고려 후기의 승려인 나옹화상 혜근이 지은 <승원가>, <서왕가> 따위를 꼽는다. 그러나 이 이전에도 고려 후기 선승들의 작품집에 유사한 형식의 노래들이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 그 같은 전통이 이미 상당히 축적되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비슷한 전통은 후렴구 없이 4음보로 길게 이어지는 민요에서도 널리 확인되므로 결국 이 두 흐름이 어느 지점에선가 결합하여 4음보 연속체라는 가사형식을 만들어냈으리라는 점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형식은 고려 후기 사대부 집단과 만남으로써 우리 시가사에서 중요한 양식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권문세족들이 부패와 향락에 빠져 문화의 주도권을 상실하고 있던 시기에 나타난 지방 향리 출신의 사대부들이 자신들의 문학적 교양과 실무능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문화기류를 형성하고자 하였는데, 그 양식 가운데 하나가 가사이다.
주로 조선조에서 지어진 가사는 어느 문종보다 내용, 분량으로 방대하고 민중의 사랑을 받았다. 그러나 같은 시대의 작품인 소설, 시조에 대한 관심은 계속되고 있어도 가사만은 미미한 편이다. 연구성과의 측면에서 보면 전반적으로 가사 문학 연구의 부진함은 역력하다. 그것은 단조로운 형식적 반복과 비문예성을 가사 문학의 약점으로 간주하여 연구 가치를 낮추어 판단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상태의 가사는 해방 전후까지 긴 세월에 걸쳐 면밀히 이어왔다. 그 중에서도 조선 전기의 것이 전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보이는데, 그것은 처음 가사들이 다음 가사에 영향을 주면서 창작되었기 때문이다.
이후에 전기 가사의 시초라 할 수 있는 <서왕가>와 대표작 <상춘곡>, <면앙정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참고 자료
윤덕진,『가사읽기』, 태학사. 1999
진경환, 정출헌, 고미숙, 『조선시대의 문학1』, 웅진출판주식회사, 1998
김종진, 『불교가사의 연행과 전승』, 이회, 2002
정경섭, 『고전문학의 이해와 감상1 -시가-』, (주)문원각, 2003
서원섭, 『한국가사의 문학적 연구』, 형운출판사, 1995
신영명, 우응순 외, 『조선 중기 시가와 자연 』, 태학사, 2002
강신구, 「조선 전기 가사의 소재 고찰」, 『한국교육어문학회 제 18집』, 1996
강신구, 「조선전기 가사의 미의식 표출」, 『새얼어문논집 9권』, 1996,
강신구, 「조선 전기 가사의 별곡 연구」, 『한국어문교육학회 제 16집』,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