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논쟁(논쟁의내용 및 의의)
- 최초 등록일
- 2006.06.22
- 최종 저작일
- 2006.06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각 항목별로 정성껏 작성하였습니다.
좋은 참고자료가 되길 바랍니다.
목차
1. 논쟁의 발단
2. 논쟁의 내용과 전개
① 태극 논쟁의 문제 제기-조한보의 견해에 대한 이언적의 평
② 첫째 논쟁
③ 두 번째 논쟁
④ 셋째 논쟁
⑤ 넷째 논쟁
3. 논쟁의 의의
본문내용
1. 논쟁의 발단
태극 논쟁이란 주자학의 핵심 개념인 태극에 대한 이해 문제를 놓고 회재 이언적과 망기당 조한보가 벌인 논쟁을 가리킨다. 논쟁은 1517년부터 1518년까지 2년 동안 이어졌다.
이 논쟁은 아주 우연한 계기로 시작되었다. 이언적의 글에 따르면 먼저 이언적의 외삼촌 망재 손숙돈과 조한보 사이에 논쟁이 있었다. 그런데 조한보가 손숙돈에게 보낸 `답망재무극태극변`이라는 글을 벗 사우당을 통해 얻어 보고 `서망재망기당무극태극설후`라는 비평을 썼는데, 그 글이 뜻하지 않게 조한보에게 전해져서 조한보가 먼저 편지를 보내오면서 논쟁이 시작되었다. 두 사람은 모두 네 차례에 걸쳐 편지를 주고받으면서 논쟁을 벌인 것으로 추정되는데, 조한보의 문집이 불에 타 없어졌기 때문에 논쟁 내용을 알 수 있는 현존 자료는 앞에서 언급한 `서망재망기당무극태극설후`와 이언적이 조한보에게 보낸 편지 네 편뿐이다. 그러나 이언적이 자신의 편지에서 조한보의 말을 인용하면서 조목조목 반박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대체적인 조한보의 주장을 알 수 있으며, 이언적의 아들이자 제자였던 이전인이 중국의 주희와 육구연의 논쟁을 전편으로 묶고 후편으로 이언적의 비평문과 편지를 묶어 만든 『태극문변』에 조한보의 사상을 잘 드러내는 시가 두 편 실려 있고, 『회재선생문집』에 조한보에게 보낸 시 다섯 수가 실려 있다.
2. 논쟁의 내용과 전개
① 태극 논쟁의 문제 제기-조한보의 견해에 대한 이언적의 평
태극 논쟁은 좁게 보면 `태극도설`에 대한 해석의 차이인 셈이며, 넓게 보면 주자학적 세계관과 노장 또는 불교적 세계관의 차이인 셈이다. 조한보는 `무극이태극`을 해설하여 태극이 바로 무극이라고 하면서 무극과 태극을 유무와 내외로 나눌 수 없다고 보았다. 또 `무극이태극`은 큰 근본이자 통달한 도로서 나눌 수 없는 한 덩어리이기 때문에, 그 근본만 깨달으면 모든 사물의 이치를 다 갖추게 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견해에 대해 이언적은 주돈이가 `무극이태극`이라고 한 까닭은 사물이 생겨나기 이전의 형체 없는 존재라는 뜻에서 무극이라고 한 것이며, 또 실제 모든 사물의 뿌리가 된다는 뜻에서 태극이라고 한 것이라 하였다. 그리고 그 근본 자리를 둘로 나눌 수는 없지만 채용, 동정, 선후를 구별하지 않을 수 없으며, 만약 조한보처럼 본다면 눈금 없는 저울이나 자와 같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무극이태극`이란 그 이치가 극히 미묘하여 모든 사물의 변화가 다 여기서 나오지만 실제 형상을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가리킨 표현이라고 하였다. 이런 입장에서 이언적은 조한보가 `무극태허`의 본체를 내 마음의 본체로 삼으면 모든 만물이 내게 막힘없이 쓰일 수 있게 된다고 한 견해에 대해서도, 바다를 건너려고 하면서 다리가 없음을 헤아리지 못하는 생각이며 하늘에 오르려고 하면서도 사다리가 없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견해라고 비판하였다
참고 자료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한국철학 사상연구회, 예문서원,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