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의원 쓰레기 처리는 80년대 초기에 비로소 환경보호부서가 중시하기 시작하였으며, 아울러 신속하고도 성공적인 연구·제작으로 중국에서 가장 먼저 "재연소방식 의료용 소각로"를 출시하였다. 또한 이 개발로서 중국의 의료쓰레기 관리와 처리수준을 제고함으로서 국제수준과의 차이를 줄일 수 있었다. 1994년, 위생부는 <의원감염관리규범>에서 2급이상 의원은 반드시 소각로를 설치하고 전문관리인을 두어야 하는 등의 관리제도를 명확히 하였다.
그러나 이제까지 폐기물 적법처리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많은 의원들은 이 제도를 있으나 마나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2003년부터 2년동안 북경의 대형의원들은 잇따라 소각로를 설치하였으나 일부 소각로는 기술수준이 낮아 운행이 안정적이지 못하고, 대형 의원들이 대부분 도시 중심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질병오염을 공기오염으로 변환한 것과 같아서 의원 주변의 주민들이 이를 참지 못하여 민원을 제기하고 있다. 중간규모의 의원은 의료폐기물을 다른 기관에 위탁하여 처리하거나 스스로 생활쓰레기와 혼합하여 매립하고 어떤 경우는 자기 병원 내에서 소각 처리한다. 이렇게 의료 폐기물을 처리할 경우 종종 2차오염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다수의 중·소규모 의원과 개인 진료소는 이러한 조건마저 갖추지 못하고 의료폐기물을 생활쓰레기와 혼합하여 함께 내다 버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의료폐기물의 문제가 심각해지자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국가환경보호총국은 재정부, 건설부와 위험폐기물 및 의료폐기물 처리시설 건설계획을 바탕으로 2004년부터 3년 간 150억 위엔을 투입하였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