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경제]현대 일본경제의 이해
- 최초 등록일
- 2006.06.20
- 최종 저작일
- 2006.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들어가며.
2. 제 1장 정보기술혁명과 일본경제
3. 제 2장 일본경제의 세계화와 현 단계
4. 제 3장 정보화. 서비스화는 산업구조
5. 제 4장 일본의 기업체제
6. 제 5장 일본적 고용관행과 노사관계
7. 제 6장 금융위기의 일본경제
8. 제 7장 일본의 재정구조
본문내용
제 2장 일본경제의 세계화와 현 단계
현대의 세계화는 재화․서비스, 자본, 노동력, 기술, 정보 등이 국경을 넘어, 이제까지 없었던 규모와 속도로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로부터 발생하는 여러 가지 충격으로 시장원리가 취약한 경제․사회를 집어 삼키게 되는 것이다.
일본경제와 관련지어 세계화의 특징을 보면,
첫째,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와 아시아에서 중국의 개혁개방정책으로 그 동안 동서로 분단되었던 세계시장이 급속히 확대되어, 예전보다 무역과 자본의 이동이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둘째, 정보기술혁명은 자본이동의 속도와 양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려, 성장기대가 집중되는 지역에는 막대한 자본투하가 진행되고, 공업화 속도를 앞당기고, 새로운 산업분야를 급속하게 발전시킨 결과 아시아는 세계적인 정보통신 제조업이 주요 거점으로 변모하고 있다.
셋째, 세계의 자본․무역․금융에 대한 자유화가 급속히 진전되어, 각국의 자본이나 상품․서비스에 대한 이동의 벽이 뚜렷하게 낮아졌고
넷째, 시장원리는 다 드러난 각국의 국민경제에 침투하게 되었고 현재로서는 생산요소의 시장화를 제한적으로 조절하는 제도나 룰은 국민국가 권력에 의해서만 가능하게 되었다.
국제수지는 크게 상품․서비스의 합계를 나타내는 ‘경상수지’와 자본거래를 나타내는 ‘자본수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일본의 ‘경상수지’는1970년대 이래 1973년과 1979년 두 번의 오일쇼크를 전후하여, 무역수지의 하락폭이 커서(흑자를 배경) 경상수지가 마이너스가 된 적 이외에는 흑자였다.
자본수지는 1980년 들어 급속하게 마이너스(자본의 수출)를 보이고 있으며, 투자수지를 보면 경기 동향이나 일본 국내의 경제상황에 따른 증감은 있으나, 해외로의 자본투자가 진행되고 있다.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반에 정점을 이루고 직접투자는 1990년대 후반이 되면서 증권투자와 길항적인 추세로 기업이 본격적으로 다국화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세계시장에 부유하는 단기자본의 격류는 1997년 아시아 통화위기의 계기가 되었으며, 일본경제도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헤지펀드(hedge fund)와 같은 투기적 단기자본의 동향에 대한 일정한 규제를 만들지 않는 한 큰 환율변동이나 금리동향에 제조업이나 발전도상국의 경제는 커다란 영향으로 외환시장의 변동으로 수익을 제약당하는 조건이 더욱 커지고 있다.
참고 자료
현대 일본경제의이해 - 정보화와 글로벌 화 해남, 2003.9.5
나가시마 오사무 지음/정안기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