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무역]동북아 경제현황과 협력방안
*제*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정말 열심히 했습니다. 준비하시는 분들을 아실테지만 오래된 자료가 너무 많고 요약하기가 이해하기가 힘드실 것입니다. 저 또한 자료 수집에 어려움이 있었고 많은 시간동안 신빙성 있는 자료를 수집, 분석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경제통합사례 EU 분석하고 FTA, 요세 문제되는 농업부문의 관련된 영향과 저의주장을 넣었습니다. 레포트 구조가 논문식이고 알기쉽게 정리하였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목차
Ⅰ 머 리 말II경 제 통 합 사 례
(EU와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비교)
III한,중,일 3국의 경 제 협 력 현 황
IV동 북 아 F T A 추 진 가 능 성
V동 북 아 경 제 협 력 체 체 결 이 농 업 부 문 에 미 치 는 영 향
VI맺 음 말
VII농 업 측 면 에 서 의 나 의 견 해
본문내용
I. 머리말세계는 바야흐로 지역주의의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1950년대부터 추진되어 온 유럽의 경제통합이 1992년 유럽연합(EU)의 출범 및 1999년 단일통화인 유로화의 탄생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1994년 미국, 캐나다, 멕시코 간의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의 공식 발효, 1991년 남미공동시장(MERCOSUR)의 형성, 1994년의 미주자유무역지대(FTAA)출범에 대한 공식 합의, 1989년의 아태경제협력체(APEC)출범, ASEAN 자유무역지대(AFTA) 결성 등으로 지역주의는 확산․심화․광역화되고 있다. 즉, 세계는 유럽의 EU, 북미대륙의 NAFTA, 남미대륙의 MERCOSUR, 아태지역의 APEC 등으로 블록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역주의가 급속하게 확산․심화되는 주된 이유는 지역무역협정체결을 통한 경제적 이득, 외교․안보적 이득, 국제사회에서의 발언권 증대라는 다양한 편익에 있다고 보여 진다. 경제통합은 무역창출을 통해 후생을 증진시키고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제고, 시장 확대로 규모의 경제 실현, 기술혁신을 통한 성장 촉진 등의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세계적인 지역주의의 확산․심화 속에서도 한국을 비롯한 동북아 지역의 역내 국가들은 대응하기 위해서는 중장기 전략 수립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물론 안보적, 정치적, 경제적, 역사적인 문제가 지속되고 있음은 간과할 수 없지만 최근에는 동북아 지역의 경제협력 환경에 상당한 변화가 일고 있다. 동아시아의 경제위기는 동 지역 내 공동체 의식을 확산시키는 계기로 작용한 측면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급속한 지역주의의 세계적인 확산과 심화 역시 동북아 경제협력에 대한 역내 국가들의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다.
따라서 한․중․일 경제 현황과 동북아 협력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접근해보도록 하겠다.
1. 지역경제협력의 모형과 사례
지역경제협력모형은 크게 국가 간 경제협력과 국지적 경제협력모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동북아지역 경제협력은 한․중․일간의 정치적․경제적 차이, 경제발전단계의 차이, 산업구조상의 문제, 복잡한 한반도 주변의 이해관계 등으로 추진되기가 상당히 어려운 면이 있으나 국지적 경제협력추진은 국가간 경제협력을 추진함에 있어 이러한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국가간 경제협력모형은 4단계로 구성된다. 제1단계인 경제협력의 기반 조성단계(하부인프라구축 단계)는 상호 이해증진을 통한 통합 분위기 조성에 있다. 이를 위해 통합전략에 대한 공동연구, 국민 공감대 형성이 이루어져야 하고 가능한 분야로부터의 교류증진 노력을 병행 추진해야 한다. 제1단계에서는 자국 내 각종 제도와 규범의 정비작업을 통하여 각종 경제제도의 글로벌 표준을 구축해야 한다.
제2단계는 경제협의체 형성단계로 한․중․일을 포함한 경제협력 증진을 위한 ........
참고 자료
-이창재외, “동북아 경제협력 전략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9, PP188~190-Andrew MacIntyre, Hadi Soesastro, "Politico-Strategic Dimensions of Economic Cooperation in the Asia Pacific, ANU(Austrian national University, Canberra), 2004, P3
-신용태, 2004, “동북아 경제협력과 통합을 위한 로드맵” P.16, KIET
-안효승, 2004.2, “동북아경제협력체 추진방안” PP.8~13, 외교안보연구원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주간 무역리뷰, 2004.1.12. No.91.
-안효승외 3명, “동북아 지역 FTA 추진현황”, 2003.7.4, 외교 안보 연구원
-어명근외 3명, “동북아 경제협력체 창설의 농업부문 파급효과 계측”, 2004.12, PP24~5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태규외 5명, “동북아의 경제협력과 질서”, 2004.10.27, P197
-한국비교경제학회, “동북아 경제협력과 경제특구”, 2005.9.5
-신현수·이원복, 2003.3, “한·중·일 제조업 경쟁력의 비교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산업연구원
-김운근외 3명, “동북아역내 농산물무역 및 농업개발 협력의 현황과 과제”, 1995.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