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서사문학에 드러난 권선징악의 문제
- 최초 등록일
- 2006.06.13
- 최종 저작일
- 2006.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시작하며 - 권선징악에 관한 논의의 의미와 기존 논의의 검토
2. 권선징악의 주제적 개념과 선악의 문제
2-1. 권선징악에서 개념과 주제적 의미
2-2. 서사문학에 있어서 선과 악의 문제
3.『어우야담』에 드러난 권선징악의 주제적 의미와 실상
4. 끝내며
본문내용
1. 시작하며 - 권선징악에 관한 논의의 의미와 기존 논의의 검토
일반적으로 권선징악은 선행을 권하고 악행은 징한다는 의미로 사람들의 의식 속에 당연시 되어왔다. 또한 고전소설의 주제로서 인식되어 오기도 했다. 고소설에서 권선징악에 관한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에 관한 많은 논의가 있긴 했지만 정작 권선징악 자체에 대한 논의나 서사문학 전반에 관한 권선징악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고소설의 천편일률적인 주제였던 권선징악은 1910년대 중반부터 근대적 소설이 정착되기 위해 극복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졌다. 선행 연구자들은 권선징악 자체를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여기고 있고, 연구가치가 없는 것으로 치부해 버리려는 경향까지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정주동은 “우리 나라 고대소설에 雄作이 없음은 그 주제가가 권선징악성으로만 일률화되어 있음에 기인한다고도 볼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고, 김기동 또한 “누구나 이조소설을 읽어 보면 작품마다 각각 다른 주제가 있는 것이 아니고 작품마다 동일한 주제를 가지고 있는, 다시 말하면 주제의 유형성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 기존 논의들의 입장을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권선징악이 고소설을 단순화시키고 유형화하며 소설의 발달을 저해한 부정적인 요인으로 간주하고 있다. 또한 권선징악이라는 주제가 예로부터 동․서양에 모두 있었던 상식적 차원의 것이므로 다룰 필요가 없다고 인식되어 왔다.
본고에서 고찰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권선징악의 의미를 좀 더 넓은 시각을 가지고 넓은 의미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둘째, 서사문학에 있어서의 선과 악의 문제를 알아보고 셋째, 권선징악적 요소가 한국 서사문학 중 『어우야담』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강재철. 「권선징악 이론의 전통과 고전소설」,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강재철, 「고소설의 징악양상과 의의」,『동양학』33,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3.
김경애, 「권선징악에 대하여」,『한국문학이론과 비평』2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5.
김현철, 『어우야담』에 나타난 사회상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이재선, 「한국문학 주제론」, 서강대학교 출판부,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