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 들어가는 말
二. 1600년경의 중국과 그 후 200년
1. 명조의 멸망
2. 청제국의 시대
三. 1600년경의 한국과 그 후 200년
1. 임진왜란과 그 후 조선사회의 변동
四. 1600년경의 일본과 그 후 200년
1.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2. 에도 막부의 성립과 그 후의 상황
3. 사회·문화적 상황
五. 기타 동양지역의 1600년경과 그 후 200년의 상황
1. 동남아시아
2. 인도
3. 오스만 터어키
六. 맺는 말
본문내용
一. 들어가는 말
역사상에서 볼 때 중요한 전환기적 의미를 기점은 몇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여기서 살펴볼 세계는 1600년경의 동양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1500년경~ 1600년경이 주요한 전환기라고 보여지는데 특히 동양에서는 1600년대가 중요한 전환기라고 볼 수 있겠다.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1500년경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면 우선 유럽에서는 주요 지리상의 발견과 더불어 종교개혁이 있어 근대사회로의 이행에 한 발 다가갔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살펴볼 동양의 세계는 1600년대가 그 의미가 더욱 크기에 중국, 우리 나라, 일본을 중심으로 하고 기타 지역을 더불어 살펴보는 방향으로 1600년대와 그 후 200년의 흐름을 전개해 나가고자 한다.
二. 1600년경의 중국과 그 후 200년
1. 명조의 멸망
(1) 명말의 정치 정세
여진족이 통일세력을 형성하고 청조 성립을 향해 발전하여 가고 있을 무렵 중국의 상황은 어떠했을까? 만력제(萬曆帝) 중반 이후의 명조는 이미 쇠망의 고갯길에서 미끄러져 내려오고 있었다고 말해도 좋을 것이다. 안으로는 사회불안과 재정궁핍, 밖으로는 후금국의 성립과 발전이라는 위기상황에 있으면서도 관료들은 당쟁에 혈안이 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적절한 정책을 안정적으로 수행한다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다. 특히 외부로부터의 적인 후금의 발전은 큰 위협이 아닐 수 없었고, 명조를 직접 멸망으로 이끈 더욱 큰 문제는 국내의 사정, 즉 이자성(李自成)의 농민반란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참고자료
· 중국역사연구실, 『中國歷史』, 신서원, 1993.
· ․박영규,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도서출판 들녘, 1996.
· ․연민수 편저, 『일본역사』, 보고사, 1998.
· ․미야자키 마사카츠, 『하룻밤에 읽는 세계사』, 중앙 M&B, 200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