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오늘날 정도전에 대한 평가는 사뭇 엇갈린 바가 많다. 긍정적인 평가도 있기도 한 반면에 고려를 망하게 하고, 정몽주를 죽게 한 장본인의 한 사람으로도 평가를 받기도 한다. 많은 비난과 비판을 받고, 소수의 급진 개혁파중의 선두 주자였던 정도전의 삶은 어떠했으며, 당시의 새로운 시대를 연 주역으로써 그가 가진 사상은 어떠했을까?정도전이 추구했던 사상과 정책을 알아봄으로써 새로운 나라, 조선을 건국하는데 있어서의 정도전의 정치이념에 대해 간략하게나마 살펴보도록 하겠다.
정도전은 나라 조선의 건국을 이끌어가면서 그 당시의 시대적 배경 및 과 상황에서 무엇을이루어 내고자 하였을까? 그리고 정도전의 이러한 정책이 조선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목차
Ⅰ.정도전의 생애.2. 정도전의 개국 이후의 업적
1).문물 제도의 창제
2).요동 정벌 계획과 무인(戊寅)의 난(亂)
3).불교에 대한 비판
3. 정도전의 정치사상
1). 유교정치
2). 군주제
3). 재상 정치
4). 관료제
5). 정도전의 이념정책
4. 정도전의 정치사상이 조선시대에 미친 영향 및 평가
본문내용
Ⅰ.정도전의 생애.정도전은 여말선초 시대를 이끈 사상가이고, 유학자이며, 혁명가이자 위대한 정치가였다. 그는 봉화정씨로서 충청도 단암 삼봉에서 형봉상서 운경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 정몽주, 이승인 들과 교유하였으며, 1362년 문과에 급제한 후, 중추사록, 성균박사, 태상박사 등을 지냈다. 1375년 권신, 이인임 등의 친원 배명 정책에 반대하여 권신세력과 맞서다 전라도 나주로 유배되었는데, 이때 그는 자신의 결연한 심정을 시에 담았다.
2. 정도전의 개국 이후의 업적
1).문물 제도의 창제
개국이후 정도전은 개국 1등 공신에 피봉되고, 문하시랑 찬성사(門下侍郞贊成事)․판도평의사사사(判都評議使司事)․판호조사(判戶曹事)․판상서사사(判尙瑞司事)․보문각태학사(普門閣太學士)․지경연예문춘추관사(知經筵藝文春秋館事)․판의흥삼군부사(判義興三軍府事) 등 모든 요직을 겸직 또는 역임하여 실제로 그의 권한은 왕을 능가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2).요동 정벌 계획과 무인(戊寅)의 난(亂)
군산 정책은 개국 직후부터 추진된 것으로 그것은 장기적으로는 국방 체제를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었으나, 현실적으로는 요동 수복을 위한 전쟁 준비의 성격도 띠고 있었다.
3).불교에 대한 비판
정 도전의 업적으로서 마지막으로 언급해 두어야 할 것은 성리학(性理學)에 관한 일련의 저술이다.
3. 정도전의 정치사상
1). 유교정치
정도전의 정치사상적 기반은 유교, 그리고 여말에 도입된 성리학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정치 사상은 고전적인 유교 정치론과 성리학적인 경향에서 형성된 유교적 일반적인 정치사상과 크게 다르진 않다.
2). 군주제
정도전은 군주권의 동일 가내 세습을 당연시했다. 그렇지만 정도전은 위에서 강조한 바와 같이 정치의 正(정)․公(공)․仁(인)의 정신에 따라 정치가 하늘을 대신하여 백성을 다스리는 것이라면 그 일을 감당할 만한 마땅한 자격을 구비한 자가 왕위를 계승해야 한다는 점을 중시했다. 그가 이성계에 의한 역성혁명을 정당화하는 각종의 문장에서 거듭하여 이성계가 하늘을 대신하여 백성을 다스릴 자격을 갖춘 인물임을 강조하는 것은 정도전이 이러한 논리를 의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3). 재상 정치
조선 건국 당시는 군주권의 가내 계승을 당연하게 여기는 때였다. 이에 정도전은 전통에 따라 군주권의 가내 계승을 인정하는 한편으로 그로 인한 유덕함의 부족은 재상 정치로 해결하고자 하였다.
4). 관료제
결국 정도전이 정치가 국가 구성원 모두를 위한다는 공적 목적의 실현을 위해 중시한 제도가 관료제다
5). 정도전의 이념정책
여말에 수입된 성리학은 유교 이외의 학설이나 종교에 대해서 배타적인 경향이 분명한 학술이었다.
4. 정도전의 정치사상이 조선시대에 미친 영향 및 평가
삼봉 정도전은 문신이면서 동시에 무를 겸비하였고, 성격이 호방하여 혁명가적 기질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근본적으로 변혁과 개혁정신을 몸에 지니고 있었다고 볼 수 있겠다.....
참고 자료
없음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근세사]정도전의 정치사상 10페이지
- [역사학]정도전 11페이지
- 정도전의 인물사 연구(생애, 사상,논문연구현황까지) 17페이지
- [한국사]조선시대 과거제도 5페이지
- [한국사] 조선시대 신분제도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