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방송]한국 디지털 영화 제작에 관한 보고서
*영*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한국 디지털 영화의 현 주소를 살펴보고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목차
1. 전주 국제 영화제에서의 한국 디지털 영화(1) 전주 국제 영화제에서 ‘디지털 영화’가 받는 각별한 관심
2. 한국 디지털 영화의 제작 사례들
(1) 한국 디지털 영화의 제작 사례와 특징
(2) 송일곤 감독의 <마법사들>의 경우
3. 디지털 영화의 제작 환경에 있어서의 변화
(1) 디지털 영화 제작에 대한 이해
(2) 디지털 영화 제작 방식
4. 디지털 영화의 최근 제작 환경과 현황
(1) 국가적 차원의 디지털 영화 산업지원
(2) 디지털 영화 산업발전을 위한 공개 토론 내용
(3) 한국 디지털 영화 산업의 비전과 목표
5. 한국 디지털 영화의 제작에 있어서의 해결 과제
(1) 기술적인 부분에서의 해결 과제
(2) 제작측면에서의 해결과제
(3) 미학적인 부분에서의 해결 과제
(4) 배급 및 상영에 있어서의 해결과제
6. 한국 디지털 영화에 관한 조재홍 교수님과의 인터뷰
7. 요약 및 정리, 자료 출처
본문내용
전주 국제영화제를 통해서 요즘 한국 영화계 뿐 만 아니라 세계 영화계가 주목하고 있는 디지털영화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미 2000년도 초기부터 꾸준하고, 점진적으로 디지털영화는 제작되어 왔다. 그 제작방식도 다양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화적 완성도도 높아지고 있다. <프락치>나 <용서받지 못한 자>, <마법사들>은 이미 세계 영화제에서 호평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한국 디지털 영화의 가능성을 보여준 작품이었다. 이에 따라 한국 사회도 디지털 영화에 주목하면서 산업적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그와 함께 디지털 상영관의 증가하고 있고, 이는 미래에 제작될 디지털 영화의 창구를 넓혀주는 큰 밑거름이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하드웨어적인 부분이나 기술 인력부분, 필름영화와의 차별성의 문제, 배급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술적인 부분이나 인력부분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디지털적인 문화에 익숙한 젊은 세대에 의해서 곧 극복할 수 있을 문제로 보인다. 향후, 디지털 영화의 활성화를 위해서 꾸준한 디지털 영화에 대한 투자와 창의적인 연출가의 발굴이 장기적인 문제이며,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일 것이다.참고 자료
ⅰ)「필름 중심의 영화 산업을 대체하는 뉴미디어 디지털 기술에 대한 분석- 디지털 시네 마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정보대학원 정보통신학과 정보통신전공, 강창규. 2005. 6ⅱ)「멀티미디어 시대의 영상 제작과 그 수용 형태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 학원 연극영화전공 석사학위논문, 권기홍, 1995
ⅲ)「한국영화 제작 자본의 투자 활성화 정책에 대한 연구 - 대기업 영화제작자본의 투자 모델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연극영화과 석사학위논문, 남지원, 1997
ⅳ) 디지털 필름 메이킹 : 영화제작의 새로운 패러다임, 토마스 오헤이언 & 마이클 필립스 공저 ; 이승무 역. 서울 : 책과길, 1999.
ⅴ) 영화진흥위원회 <한국 영화 동향과 전망> 2005년 11월호 2006년 1/2월호
ⅵ) "디지털시네마 디지털영사기 규격 최후의 승자," 『전자 신문』, 2006. 5. 23
ⅶ) "한국 디지털 시네마, 원년은 바로 지금," (필름2.0, 281호 2006. 5)
ⅷ) "사람과 카메라가 호흡하는 순간 <마법사들> 송일곤 감독, 박영준 촬영감독" (필름 2.0, 2006.4.3.)
ⅸ) "[기획] 알고 보면 더 재밌다 <마법사들>" 『맥스무비』2006.3.31
ⅹ) "한국영화, 올해는 변혁의 원년! 2005년을 읽는 8개의 키워드" (필름2.0, 2005.12.30.)
ⅺ)「저예산 디지털 영화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극장개봉을 전제로 한 장편상업영화 를 중심으로 ,영화진흥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