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웨인 그루뎀. 「조직신학(중)」. 노진준 역. 서울: 도서출판 은성. 1996이 책을 1차 문헌으로 조직신학적관점에서 구원론을 전개하였다.
목차
I. 서론II. 구원의 적용에 대하여
(1) 일반 은총
(2) 선택과 유기
(3) 복음의 부르심과 유효적 소명
(4) 중생과 성령 세례
(5) 회심(믿음과 회개)
(6) 칭의(하나님 앞에서의 올바른 법적신분)
(7) 양자됨과 성도의 견인
(8) 영화와 그리스도와의 연합
I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구원은 salvation, save, saving grace(구원받은 사람이 누리는 은혜), commom grace (이 세상에서 태어난 사람은 누구나 누리는 은혜), 리뎀션은 redeem 은 구속하다. re는 다시 buy 사다. 라는 말이다. 노예 시장에서 종을 사다. 라는 말이다. (하나님 앞에 나는 남에게 줄 수 없는 사랑하는 노예다.) 내가 몸값을 주고 그 노예를 사오는 것이다. 노예는 저 사람의 소유가 아니라 나의 소유가 되는 것이다. 이 몸값이라는 것은 바로 속죄라는 것이다. 이 몸값을 마련하려고 예수님이 행하신 것을 속죄라고 부른다. 몸값을 지불하며 일어나는 것이 구속이다. 이 구속이 개인에게 적용 되서 일어나는 효과가 구원이다. 이것이 구원의 결과이다. 구속이 죄인에게 적용 되는 것, 이것이 원인이며, 그 결과 구원이라는 것이 이루어 졌다. 그러므로 구원이 아니라 구속이라는 단어로 바꿔 사용해야 할 것이다.
웨슬리는 칭의 중생 성화의 길을 걸어가면, 그리스도의 완전에 들어간 사람도 맥이 풀리고 힘들고 낙심하고 그럴 수가 있다. 하지만 그 사람은 믿음이 있으며 하나님을 사랑하며, 은혜의 섭리인줄로 확신하며 순종하는 삶을 산다. 그런 사람이 그리스도의 완전에 들어간 사람이며 구원받은 사람이다. 라고 말한다.
II. 구원의 적용에 대하여(The doctrine of the Application of Redemption)
(1) 일반 은총
일반 은총은 무엇인가?
아담과 하와의 범죄로 인해 하나님과 격리되고 심판을 받았고, 모든 인류가 원죄 하에 놓이고 하나님의 진노와 영원한 심판을 받아 마땅하게 되었다. 웨인 그루뎀, 「조직신학(중)」, 노진준역 (서울: 도서출판 은성, 1996), 239.
성경에 근거하여 인간은 모두 죄인이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즉시 심판하시지 않으시고 꾸준히 구원 받을 수 있는 길을 주셨다.
하나님께서는 실제로 죄를 범한 천사들 더 이상 구원 받을 수 없는 상태로 즉결 심판을 내리셨다. 우리 인간도 범죄 한 존재로서 이와 같이 즉결 심판을 받아야 했다. 그러나 벧후 2:4절에 실제로 아담과 하와는 즉시 죽지 않았다. 사형 집행은 오랜 세월 뒤에 있었다. 아담의 자손들은 죄인으로 태어나게 되며, 실제로 죄를 짓고 산다. 그런데 어떻게 우리가 오랫동안 복을 받으며 살게 되는가? 택자 뿐만 아니라 불택자에게도 어떻게 즉시 죽지 않고 복을 누리고 자손을 낳으며 사는가? 이것을 어떻게 설명하나? 바로 이런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이 일반은총이다.
참고 자료
1.일차문헌웨인 그루뎀. 「조직신학(중)」. 노진준 역. 서울: 도서출판 은성. 1996
2.이차문헌
1) 국내 문헌
이선희. 「복음주의적 감리교 신학의 모색」. 대전: 도서출판 복음. 2002
고달삼. 「은총의 순간」. 서울: 일맥사. 1982
이태화. 「조직신학3 하나님 우리아버지」. 서울: 도서출판 은혜사. 1989
오한옥. 「풍성한 삶으로 가는 길」. 서울: 쿰란 출판사. 2000
박영선. 「성화에의 길」. 서울: 도서출판 엠마오. 1992
박영선. 「구원의 영광」. 서울: 도서출판 엠마오. 1994
박영선. 「은혜의 영광」. 서울: 도서출판 엠마오. 1994
박영선. 「의와 영광」. 서울: 도서출판 엠마오. 1995
박영선. 「양자의 영광」. 서울: 도서출판 엠마오. 1995
박영선. 「부르심의 영광」. 서울: 도서출판 엠마오. 1996
박영선. 「회복될 영광」. 서울: 도서출판 엠마오. 1996
2) 번역문헌
W.walker. 「기독교회사」. 정기환 역. 크리스찬다이제스트사. 1988
밀라드제이에릭슨.「기독교와 인간의 구원」. 이창우 역. 서울: 한국기독교문화협회. 1980
윌리암캐논.「웨슬레 신학」. 남기철 역.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교육국. 1986
콜린 윌리엄즈.「존 웨슬리의 신학」. 이계준 역. 서울: 은혜사. 1986
JH 토마스.「천로역정」. 이문숙 역. 서울: 도서출판 예찬사. 1992
데니스리타 베네트.「성령과 나」. 황명희 역. 도서출판 두란노. 1993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조직신학 웨인 그루뎀 교회론 요약 14페이지
- [신학]웨인그루뎀 조직신학 기독론 28페이지
- [신론]웨인그루뎀 조직신학 신론(神論) 요약 정리 28페이지
- [조직신학]웨인그루뎀 『인죄론』 요약 정리 23페이지
- [신학]기독론(그리스도론) 1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