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가 중 육가, 구곡가, 어부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한 논문으로 향유층인 사대부들의 인식과 그 차이를 중심으로 내용을 전개해 나갔습니다.
목차
ꊱ 서론
ꊲ 육가, 구곡가, 어부가의 개념과 특성
- 향유층과 사상의 차이를 중심으로
ꊳ 육가, 구곡가, 어부가의 공통점
ꊴ 육가, 구곡가, 어부가의 차이점
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황의 <도산십이곡>에 대한 연구는 이미 많은 성과가 이루어졌다. 이별의 <장육당육가>의 비판적 수용이라는 입장을 비롯하여 작품 자체의 치밀한 분석 및 구조를 밝히는 일까지 다양한 각도에서 논의가 진행되었다. 또한 이황이『심경(心經)』을 받아들이면서 마음의 자세를 어떻게 가다듬어야 하는지 고심하고 그 실천적 태도를 언지(言志)와 언학(言學)으로 드러낸 것이 <도산십이곡>이라는 시각이 있다. 최재남, 「서정시가의 인식과 미학」, 보고사, 2003, 151쪽.
이 <도산십이곡>은 도산 노인이 지은 바다. 노인이 이 노래를 지은 까닭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가곡은 대개 음란한 소리가 많아서 말할 바가 못 된다.<한림별곡>같은 유는 문인의 입에서 나왔으나, 긍호방탕하고 설만희압하니 더욱 군자가 숭상할 바가 아니다. 오직 요사이 이별의 육가라고 하는 것이 세상에 널리 전하는데 오히려 이보다 낫기는 하나 또한 세상을 희롱하는 불공한 뜻이 있고 온유돈후한 내실이 적음을 안타깝게 여긴다. (중략) 그러므로 내가 일찍이 이씨의 노래를 의방하여 <도산육곡>을 지은 것이 둘이니, 그 하나는 뜻을 말하고, 다른 하나는 학문을 말하였다. 아이들로 하여금 조석으로 익히어 노래하게 하고 궤석에 기대어 듣기도 한다. (후략) 이황,『退溪集』券四十三, 陶山十二曲跋.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