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한국 범종
- 최초 등록일
- 2006.05.07
- 최종 저작일
- 2005.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교양시간 시험 대체 레포트에서 A+ 받은 레포트에요 ^-^
많은 참고 바래요~
목차
<서론>
<본론>
1. 범종(梵鐘) 의 기원
2. 종의 명칭과 구조
① 용뉴
② 音管
③ 종의 몸체부분
3. 한국종의 특징
4. 시대적 특징과 대표적인 종의 소개
① 신라시대
② 고려 시대
③ 조선 시대
5. 범종의 상징적 의미
<결론>
본문내용
4. 시대적 특징과 대표적인 종의 소개
① 신라시대
한국범종의 전형으로 대표가 되고 기본적인 양식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남아 있는 신라시대의 범종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10구를 넘지 못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상원사동종, 성덕대왕신종, 청주 운전동 출토 동종, 선림원동종, 실상사동종 등이 있다. 신라종의 특징은 위의 범종의 설명과 같다.
② 고려시대
고려시대에 이르러서도 불교는 신라시대와 같이 호국불교로서 왕실은 물로, 일반국민에게까지 널리 확산되었으니, 범종을 주성하는 일도 성행하였다. 고려왕조가 지속되는 동안 신라의 양식을 계승하였던 고려시대 초기의 범종은 시대가 흐름에 따라 양식적으로나 각부의 수볍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보이게 되었다. 12세기 초 몽고에 병란을 기점으로 전기와 후기로 나눌 수 있다. 전기에는 북방 요의 연호를 사용하던 때로 신라종의 전통을 이어오던 시기이다. 후기에는 다른 나라의 연호 대신 독자적인 `간지`로써 기명을 나타내었는데, 고려예술의 각 부분이 치졸화되고 평민화되어가는 쇠퇴기에 들어서는 시기로 범종 또한 신라종과는 달리 왜소하여진다. 고려의 동종은 전기에는 신라시대의 형태를 본받아서 대체적으로 상대 위에 입상화문이 없으나 후기에 들어서면서 상대에 입상화문이 나타나고 종의 규모도 왜소하여지기 시작한다.
대표적인 종으로는 전기에 천흥사동종, 청녕4년명동종, 용주사동종 등이 있고 후기에는 정풍2년 명동종, 내소사동종, 탑산사동종, 죽장사기축명동종 등이 있다.
③ 조선시대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고려말기에 있어서 불교 그 자체의 쇠퇴와 요승들의 출현으로 말미암은 부패상이 새롭게 나타난 지배계급에 의하여 제게의 표적이 되었으며, 새로운 교화이념으로 유교가 숭상됨에 따라 신라와 고려를 통하여 800여년이나 국교적인 위치를 차지하던 불교가 유교로 대체되었다. 따라서 자연히 불교미술의 쇠퇴를 가져오게 되었다. 조선시대는 임진왜란을 중심으로하여 전기와 후기로 나누고 있다. 전기는 고려시대의 여운을 엿볼 수 있는 시기로 고려적인 조성양식과 수법을 다소나마 간직한 작품들이 출현하여 오늘날 실제로 그 유래를 보이고 있다. 후기에는 고려의 여운이 전혀 찾아볼 수 없으며, 오히려 전란으로 인하여 오랜 전통이 단절되고 조형미술은 전반에 걸쳐 새로운 방향을 찾게되었다고 한다. 전기에는 규모가 거대한데, 이것은 당시 불교를 보호한 왕실과의 관계서 중성되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흥천사동종, 봉선사대종, 낙산사동종, 해인사홍치4녀명동종 등이다. 후기의 범종은 100구가 넘게 남아 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전시대를 통하여 가장 많은 수이다. 후기의 범종들은 대개가 주성연기가 있어 절대연대를 알 수 있는대 모두 청나라의 연호(강희․건륭)를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광사숭정 7년 명동종, 직지사순치15년명동종, 통도사강희25년명동종, 범어서웅정 6년명동종, 영국사건륭26년명동종 등이 있다.
참고 자료
1. 김현준, 『사찰, 그 속에 깃든 의미』,도서출판 효림, 1997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