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intubation의 정의
2.intubation 과정의 준비물품
3.intubation의 적응증
4.intubation의 수기
5.발관
본문내용
1.intubation의 정의
기관내 삽관 endotracheal intubation 이것은 가장 확실한 기도유지 방법으로 병원에서의 심정지 상황에서 흔히 사용하는 응급 소생대책이다. 그러나 이미 저산소증이 심한 환자에게 기관내삽관을 시도하면서 너무 많은 시간을 낭비하는 실수를 하는데 이때에는 다른 환기방법(구강대 구강호흡, 안면 엠부마스크, 산소마스크)등으로 충분히 산소를 공급한 다음 기관내 삽관을 시도해야 뇌 저산소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1) 후두경
<-laryngoscopy
성문을 직접 보기 위하여 후두경을 이용한다. 손잡이와 날 및 광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는 전원을 내장하고 있고, 광원을 통해 시야를 확보하게 한다. 후두경의 날은 직형날과 곡형날의 두 종류가 있으며, 유소아 및 성인에 따라 크기가 다르다. 기관내 튜브를 통과시키기 편하도록 직형날이나 곡형날이 여러 형태로 고안되어 있다. 상기도의 해부학적 구조는 개인마다 다르고, 선천적 또는 후천적 질병에 따라 구조가 변하므로 이를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서는 후두경 날의 형태, 광원, 굴곡성 등에 특성을 가진 여러 종류의 후두경을 구비하여야한다. 특히 유연성굴곡성후두경은 경추 손상이나 개구불능 등 다른 후두경이 대체할 수 없는 장점이 있으므로 반드시 구비하여야 한다.
(2) 기관내 튜브
대부분의 튜브들은 깨끗하고 유연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잘 꼬이지 않는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polyvinyl chloride로 만든 일회용 튜브이며, 체온에서 상기도의 모양에 따라 틀에 맞게 변형되고, 튜브의 내면이 매끄러워서 흡인용 도관이나 굴곡성 기관지경이 쉽게 통과한다.
기관내 튜브의 크기는 튜브의 내경(ID : Internal Diameter)이 되는데 밀리미터로 측정해서 0.5 mm마다 번호를 붙여 생산된다. 일부제품은 French 크기로 표시되어 있는데 기관튜브의 원주 즉 외경(OD : Outer Diameter)에 원주율(π)을 곱한 수치가 번호가 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