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교육과 사회
- 최초 등록일
- 2006.04.30
- 최종 저작일
- 2001.07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교육 사회학의 입장에서 바라 본 우리 교육
문제제기 : 우리 나라에서 교육의 기능 변화... 교육에 의한 사회적 이동(social mobility)에서 교육에 의한 신분 세습화
목차
교육과 사회
교육을 바라보는 관점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교육
결 론
본문내용
♣ 교육과 사회 ♣
1960년대의 뒤르켕 이후 교육사회학이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교육이 특정한 사회적 배경 위에서 이루어짐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1966년 콜만의 ‘교육기회의 평등’에 관한 보고서는 학생의 지식 성취가 학교보다는 학생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에 의해 결정됨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불평등의 세습화는 근본적으로 학교가 아닌 사회경제제도의 불평등을 근원으로 하고 학교는 사회적 불평등의 정당화, 가속화에 기여하고 있는 것일 뿐임을 알아야 한다. 그렇다면 한국 사회에서 학교가 어떠한 모습으로 사회적 불평등을 정당화 가속화 시키고 있는지를 실례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교육을 바라보는 관점 ♣
1. 기능주의적 접근
뒤르켕은 프랑스 혁명 이후 급격히 분열되는 사회상에 직면하여 사회는 그토록 격심한 변화를 겪고도 해체되지 않는 생명력을 가지며 교육이야말로 이 혼란의 시대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는 중요한 매개라고 보았다. 교육은 개개인을 사회적인 구성원으로 양성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사회의 유지에 필수적인 과정이다. 교육은 비사회적 존재인 개인들을 사회적 존재로 길러내는 일을 하며, 곧 사회화와 동일한 의미라고 본 것이다. 따라서 교육의 기능은 사회가 요구하는 지적, 신체적, 도덕적 특성의 함양을 뜻하는 보편적 사회화와 개개인이 속하게 될 특수한 환경이 요구하는 직업윤리나 전문지식 등 특정한 신체적, 지적, 도덕적 특성의 함양을 말하는 특수사회화라고 보았다. 기능주의적 관점은 파슨스(T. Parsons)에 이르러 정교화되는데, 파슨스는 학교교육이 사회화와 더불어 인력배치라는 기본기능을 담당해야 사회가 존립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개인에게 그들이 담당하게 될 역할수행에 필요한 정신적 자세와 자질을 기르는 것이 사회화라고 보았으며, 이러한 사회화과정은 미래의 역할 수행이 핵심인 만큼 적합한 사람을 적합한 장소에 배치하는 인력배치를 통해 마무리된다고 본 것이다. 이들의 기능주의적 연구 방법은 드리븐(R. Dreeben), 하퍼(R. Harper), 하그리브스(D.H. Hargreaves) 등의 연구로 이어지면서 사회화 내용에 대한 구체적 분석, 사회적 선발 기능의 보편성 여부검토, 사회의 결속과 존속을 위한 학교의 기능에 대한 재검토 등으로 세분화되어 갔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