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중국어와 한국에서 쓰이는 한자어 어휘 비교
*극*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논문이라 각주를 정말 꼼꼼히 달아놓았습니다.각주를 다는 것만해도 몇 주일이 걸렸던 거 같네요.
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어휘의 의의 및 특징
2. 중국어 어휘의 구조와 형태
3. 중국어의 특징
4. 한국 한자어의 특징
5. 한국 한자어 어휘의 유래
6. 중국어 계통의 한자어
7. 한, 중 한자어 어휘 비교
1) 한자어 의미의 축소
2) 한자어 의미의 확대
3) 한자어 의미의 전이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어휘는 언어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어휘가 없다면 사람들은 사물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고, 어떤 사물을 이야기 할 때 정확한 방법으로 표현하기도 힘들다. 따라서 어휘학습은 언어학습의 중요한 부분이다.
우리는 현재 많은 한자를 사용하고 있다. 신문이나 잡지 등 여러 매체를 통해 한자를 접한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한자는 중국어에서부터 전래된 문자이다. 다른 문자와 마찬가지로, 한자도 생명력이 있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한자가 우리나라에 전파된 이후로도 계속 새로운 문자가 만들어지거나 기존에 사용되던 문자가 도태되기도 하였고, 우리나라에서도 중국에서 받아들였던 한자가 도태되기도 하고 기존에 받아들인 한자로 표기할 수 없었던 우리 고유의 어휘를 표현하기 위해 독자적으로 한자를 만들기도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어휘의 60% 이상은 한자 어휘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우리나라 사람이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보다 중국어를 학습하기에 유리한 위치에 있음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한자 어휘의 영향을 받아 중국어 어휘를 잘못 이해하거나 한자 어휘의 영향으로 그 의미가 헷갈리게 되어 중국어 어휘의 의미를 이해하기가 다른 문화권 학습자보다 어렵다는 사실을 나타내기도 한다.
특히 중국어 어휘는 다른 외국어와 달리 우리의 한자 어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아서 외국어가 아닌 우리의 한자 어휘로 받아들이기가 쉽다. 따라서 중국어 어휘가 한국어의 한자 어휘와 동일한 경우에는 이를 학습하기가 용이한 반면, 한국어의 한자 어휘와 형태가 같고 의미가 다르거나 동일한 의미가 상이한 형태를 취할 경우에는 다른 외국어를 학습하는 것보다 더욱 모국어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국어 어휘와 한국에서 쓰이는 한자 어휘를 비교해 봄으로써 중국어 어휘와 한자 어휘는 어떤 차이점과 유사점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그것을 이해함으로써 중국어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학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참고 자료
김광해,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현상》, 탐출판사, 1989.장흥권, 《조선어, 한어, 일본어 현대어휘와 그 변이에 대한 대비연구》, 민족출판사, 1999.
정 유 진, <중국어와 한국 한자어 비교분석-어휘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 석사학위논문, 2002
인민교육출판사중학어문실,《현대한어지식》, 인민교육출판사, 1999.
정재윤,《우리말 색채어의 낱말밭》, 국어교육, 1988.
이용주,《한국 한자어에 대한 연구》, 삼영사, 1974.
이상억,《국어 어휘 목록의 형태, 음운론적 구조 연구 - 계량 언어학적 표준조사》, 어학연구 , 1989.
김종훈, 《한국고유한자연구》, 집문당, 1983.
침재기, 《국어어휘론》, 최문당, 1983.
이숭녕,《한국어발규사》, 고대 민족문화연구소, 1967.
정숭의,〈한, 중 한자어의 변천에 관한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학 석사학위, 1987.
문선규, 《중국언어학》, 민음사, 1990.
박련화, 〈중국 조선어 의미변화의 원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왕력, 《한어사고》, 중화서국, 1980.
향판순일, 《중국언어학입문》, 정헌철(역), 고려원, 1986.
《중한사전》, 고대 민족문화 연구소 중국어대사전편집실, 1992.
황자인, 《한중일 동형의 한자어 의미대조》, 전북대어학, 1993.
성원경, 《한, 중량국에서 현용하는 한자어 비교고》, 성곡논총 8(10), 1977.
류진탁(편),《현대한어실용사전》,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6.
《중한대사전》, 진명출판사, 1993.
침재기, 《한자어의 구조와 그 조어력》, 국어생활-4, 1987.
향판순일, 《중국언어학입문》, 정헌철(역), 고려원, 1986.
하구영, 장소우, 《고한어사휘강화》, 북경출판사, 1980.
곽석량 외(편), 《고대한어》, 북경출판사, 1981.
《현대한어사전》, 상무인서관, 2000.
고갱생,《현대한어지식대사전》, 산동교육출판사, 1992.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중국어 ]중국어와 한국 한자어 비교분석 82페이지
- 한중 한자어 유형 비교 연구 92페이지
- 한자를 중심으로 한 한국과 중국의 언어 비교 연구 31페이지
- 고전시가론, 고전문학사의 모든것 20페이지
- 용인시 분석 3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