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경대전을 읽고 최제우의 생애와 사상, 동경대전을 요약하고 나름대로의 평가를 하였습니다. 중간고사 대체용으로 작성해서 정성들여 썼습니다.
목차
1. 선정동기
2. 최제우의 생애 및 사상
■ 생애
■ 사상
3. 동경대전 요약
■ 동경대전 본문(本文)
■ 동경대전 별집(別集)
4. 동경대전 평가
본문내용
■ 동경대전 본문(本文)
1. 포덕문(布德文)
포덕문은 덕을 세상에 펴기 위한 글이라는 뜻이고 1861년 신유년 2월에 최수운 선생이 지은 것이다. 세상천지가 개벽한지 수십억년 동안 우주의 법칙이 바꾸어지지 않는 것은 하날님의 조화에 의한 것이라하고있다. 그는 무지한 것은 배우지않았기 때문이라 한다. 천도(天道)를 닦아 천덕(天德)을 베풀어 크게 이루면 군자가 되고 하날님께서 내려주신 궁을영부(弓乙靈符)로써 고통받는 백성을 구제하여 나라를 돕고 모두가 잘 살도록 가르치라고 나와있다.
최수운은 과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회상하면서 조선의 앞날을 예상하고 주권수호를 역설하고 국방의 중요성을 말하나, 자기나라의 안위(安危)는 제 나라의 국민이 지켜야하고 의타주의(依他主意)는 결국에 실망과 비애가 있기 때문에 자주자립(自主自立)의 정신과 실력을 길러 자아해결에 힘써야 한다고 하고 있다.
또한 그는 당시 사람들이 각자위심(各者爲心)의 상태에 빠져 천명을 돌보지 않고 천리에 순종하지 않음을 개탄하면서 천주교의 잠입과 서세동점을 간파했다. 그래서 여기에는 `서학`에 대항해 `동학`을 선포하는 보국안민(輔國安民)·광제창생(廣濟蒼生)의 정신과 이 도를 천하에 널리 전파해야만 하는 당위성이 잘 나타나 있다
참고자료
· 주 참고 자료
· 동학연구원 편, 「한글 동경대전」, 자농, 1991
· 부 참고 자료
· - 단행본 -
· 최동희, 「東學의 思想과 運動」, 성균관 대학교 출판부, 1980
· 윤석산, 「수운 최제우 연구」.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2001
· 황선희, 「한국근대사상과 민족운동 Ⅰ-동학·천도교편」, 혜안, 1996.
· - 논문 -
· 안창범, 「동학학보 2권, 동경대전의 역사적 의의」 2001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