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북한 교육정책의 발전과정
1) 공산주의사상 도입기(1945-1950)
2) 전후복구의 공산주의 정립기(1950-1960)
3) 생산기술 교육 및 혁명전통 교양 확립기(1960-1966)
4) 유일사상 확립기(1966-1980)
5) 인간개조 교육 운동기(1980-현재)
2. 북한 교육정책의 목적
3. 북한의 교육이념
1) 사회주의교육에 관한 테제에 담긴 교육이념
2) 신년사에 담긴 교육이념
4. 북한의 교육목표
5. 북한의 교육체제
1) 교육행정기관 및 교육체계
2) 교육제도
6. 북한의 교육방법
본문내용
1. 북한 교육정책의 발전과정
1) 공산주의사상 도입기(1945-1950)
① 1947년 초에 한자교육 폐지 단행(1966년에 문화어 쓰여지기 시작)
② 1948년 사회주의 정권을 수립하기 위해서 소련의 공산주의 원리 모방
※ 교육 정책의 3대 목표
① 공산주의 이론의 기초지식 보급
② 일제 식민지 교육의 잔재 숙청
③ 문맹 퇴치
∴ 이 때의 교육정책은 학교교육과 문맹퇴치를 통해서 공산주의에 생소한 국민들의 계몽에 주력하였음
2) 전후복구의 공산주의 정립기(1950-1960)
① 1955년에는 정신무장과 경제 건설에 학교 교육의 목표를 설정, 정치적으로는 소련파의 일부에 대한 숙청사업을 추진하면서 완전한 김일성 독재 체제 구축
② 1957년에 4년제 초등교육을 의무화 함
③ 1958년에 7년의 의무교육제도 실시 - 명목상의 선진국형 교육형태를 갖춤
④ 전쟁으로 황폐화된 사회를 시급히 복구하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노동봉사를 강요
∴ 이 시기의 교육정책은 6·25 사변으로 인한 파괴를 복구하기 위한 노동교육과 생산기술교육, 사상주입 교육에 전력투구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