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김부식의 삼국사기
- 최초 등록일
- 2006.04.23
- 최종 저작일
- 2006.04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성심성의껏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아울러 자료 구매하시는 분들을 위해 예쁜 레포트표지도 첨부하였습니다. *^^*
목차
서론
본론
1. 삼국사기의 특징과 내용
2. 삼국사기
1) 저자 김부식
2) 관찬적 성격
3) 국내상황
4) 국외상황
3. 내ㆍ외부적 상황을 통해서 본 삼국사기
4. 삼국사기가 갖는 의의성과 한계성
결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서론
김부식의 <삼국사기>는 고대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사료이다. 왜냐하면 현재 남아있는 고대사 관련 문헌의 수가 굉장히 적기에 상대적인 가치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삼국사기는 좀더 객관적으로 다루어 볼 필요성이 있다. 삼국사기의 내ㆍ외부적 상황을 살펴봄과 동시에 삼국사기의 오류와 모순을 찾아내며 삼국사기가 가진 의미성을 파악하려 한다. 이에 우선 삼국사기 그 자체의 내용과 성격을 살펴보고 그 후 저자 및 정부 국내상황과 국외상황을 동시에 살펴봄으로써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삼국사기의 성격 및 그 의의성과 한계성을 찾는 것이 이번 발제의 목적이다.
1. 삼국사기의 특징과 내용
삼국사기는 기전체의 형식으로 본기와 지, 표, 열전으로 이루어진 관찬서적이다. 이 책은 본기 28권, 표 3권, 잡지 9권, 열전10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서이다. 또한 유교적 합리주의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사대주의적 성격이 강하며 관찬적 성격이 짙게 나타나 있다. 또한 신라사관과 왕권강화적 요소가 많이 나타나 있다.
내용적 특징을 살펴보면 본기는 정치기사와 순행기사 천재지변 외교기사 전쟁기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동걸·한영우·박찬승 엮음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상』 창작과 비평사 1994 p.67~70
잡지의 경우에는 제사, 악 색복, 거기 기용 옥사 지리 직관 등 통 8항목으로 지리지가 가장 큰 비중을 가지고 있다. 열전의 경우는 69명의 개인전기인데 대체로 후비나 명신 양리 혹리 학자 간신 열녀 반역의 유형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국공신이나 국가에 큰 공을 세운 인물 순국한 인물들이 크게 나타내고 있다. 조동걸·한영우·박찬승 엮음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상』 창작과 비평사 1994 p.71
열권은 총 10권 중 김유신이 3권이 차지함으로써 김부식의 역사관 속에 이상적 인물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1) 저자 김부식
경주 김씨 가문 출신으로 김근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와 할아버지는 중요관료를 역임한 문벌귀족이다. 김부식은 문종 29년에 태어나 순종, 예종, 인종, 의종 등 8명의 왕을 거치면서 의종5년에 77세의 나이로 생을 마쳤으며 그의 70여 세의 생애 전반기는 고려 문벌귀족사회의 절정기에 해당한다. 그가 <삼국사기>를 편찬한 것은 묘청의 난을 정벌한 후 인종 23년(1145)이다. 그는 송나라를 두루 다니며 중국의 선진문물과 사상을 받아들였다. 따라서 그가 중국의 사서를 두루 열람했으므로 기전체와 편년체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삼국사기>에 기전체 형식을 사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 자료
조동걸·한영우·박찬승 엮음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상』 창작과 비평사 1994
김부식 저 이강래 옮김 『삼국사기 1,2』 한길사 1998
이정신 『서경천도운동은 왜 일어나게 되었나』내일을 여는 역사 제10호 2002
이강래 『김부식은 왜 삼국사기를 편찬하였는가』내일을 여는 역사 제16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