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타베이스]시스템과 퍼스널 오라클 연습문제3장
- 최초 등록일
- 2006.04.19
- 최종 저작일
- 2004.03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데이타베이스 시스템과 퍼스널 오라클 이석호 저서 연습문제 3장
목차
3.1 화일 시스템의 장단점을 설명하라.
3.2 데이타의 종속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그 문제점과 해결책을 설명해 보라.
3.3 데이타의 중복성이 문제가 되는 이유를 설명하라.
3.4 DBMS가 갖추어야 될 필수 기능은 어떤 것인가를 설명하라.
3.5 DBMS를 사용할 때의 장단점을 설명하라.
3.6 데이타의 중복성이 완전히 제거되어야 하는가? 그렇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3.7 데이타의 무결성이 유지되지 않았을 경우의 파급 효과를 설명하라.
3.8 데이타 독립성을 설명하고 왜 중요한 것인가를 설명하라.
3.9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화일 관리 시스템을 비교 설명하라.
3.10 DBMS는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
3.11 하나의 고정된 데이타베이스 구조로 상이한 여러 가지 형태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있겠는가? 원화로 저장된 금액을 달러, 파운드, 엔, 마르크 등으로 프린트해주고 디스플레이 시켜 주는 방법을 생각해 보라.
3.12 현재 사용되고 있는 DBMS를 살펴보고, 각각 정의 기능, 조작 기능, 제어 기능에 대해 알아보라.
본문내용
3.1 화일 시스템의 장단점을 설명하라.
• 화일 시스템의 장점
- DBMS와 같은 고가의 S/W를 사용하지 않고, 메모리나 CPU 등의 시스템 자원을 덜 사용해도 되므로 시스템 운영비가 적게 든다.
- 하나의 데이타 화일만을 접근하는 간단한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자료 처리 방법이 간단해지므로 응용 시스템의 설계 시간이 짧아지고 비교적 덜 전문적이어도 된다.
- 시스템에 장애가 일어났을 경우 사후 회복이 비교적 간단하고 시스템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 화일 시스템의 단점
- 응용 프로그램은 논리적 화일 구조와 물리적 화일 구조가 일대일로 대응될 것을 요구한다.
- 응용 프로그래머는 물리적 데이타 구조에 대해 알아야만 그에 대한 접근 방법을 응용 프로그램 속에 구현시킬 수 있다.
- 데이타의 공용이 어려워 하나의 응용을 위한 단독 사용만 하게 된다.
결국 데이타의 종속성과 데이타의 중복성이라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3.2 데이타의 종속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그 문제점과 해결책을 설명해 보라.
데이타의 종속성이란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타간의 상호 의존 관계를 말한다. 예를 들면, 인덱스된 순차 화일 구조로 정의된 데이타를 접근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직접 화일 구조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과는 데이타 접근 방식이 전혀 다르다. 따라서 만일 인덱스된 순차 화일 구조로 된 데이타 화일을 직접 화일 구조로 바꾼다면 이 화일을 접근하고 있던 모든 응용 프로그램이 수정되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데이타 항목이 하나 첨가될 경우에도 레코드 길이가 달라지므로 이 화일을 접근하는 모든 응용 프로그램 역시 수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타 사이의 중재자로서 DBMS를 도입하면, 데이타베이스의 구성, 접근 방법, 관리 유지에 대한 모든 책임을 DBMS가 지게 되고, 응용 프로그램은 DBMS를 통해 해당하는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