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낙태에 대하여흔히 낙태라고 부르는 “인공 임신중절”은 잉태된 태아를 자연분만시기에 앞서서 모체로부터 인위적으로 분리시킴으로서 생명을 소멸시키는 것을 말한다. 과거에 인공유산 수술은 위험하고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했기에 거의 모든 국가에서 이를 법으로 금지해 왔다. 그러나 지금은 달라졌다. 의학이 발달되고 사회적으로 인구폭발에 대한 억제요구, 또 개인의 편리나 유익 혹은 사회적 이유 때문에 낙태를 손 쉽게 하게되었다.
국제가족계획연맹의 보고에 의하면 한해 전 세계 신생아 수는 9천만이고 그 중 낙태로 죽는 태아는 5천5백만명, 낙태수술을 받다가 사망하는 여성은 20만명에 이른다. 전세계의 2/3국가들이 인공유산을 부분적으로 합법화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법적인 문제와 상관없이 거의 모든 나라에서 오래전부터 고의적인 낙태가 일어나고 있다. 후진국에서는 무지로 인한 낙태가 유럽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여성해방운동과 개인의 자율권 보장에 대한 잘못된 적용으로 대부분의 나라에서 낙태가 합법화되어 있다.
1. 언제 인간의 생명이 시작되는가?
생명의 시작에 대한 이론을 크게 나누어 보면 수정되면서 식작된다는 이론(기독교, 카톨릭), 수정후 6주부터 시작된다는 이론(유대교), 자궁에 착상한 때부터 시작된다는 이론, 신경관이 생성되고 자극에 반응을 나타내는 수정 2주 후부터 시작된다는 이론, 뇌의 활동이 시작될 때부터 시작된다는 이론이 있으며, 요즘 많은 학자들은 수정후 태아가 어느정도 지각(감각) 작용과 의지 작용이 있을 때를 생명의 시작으로 보고 있으며 그 정확한 시기은 알 수 없으나 임신 제1기 (임신 3개월)가 훨씬 지난 다음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한 근거는 태아가 통증 자극을 인지하는 시기를 임신 20-24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태아와 생명윤리“, (한국누가회 제3차 학술세미나 자료집), p.2.3. 태아는 인간인가? 월키 부부, 『낙태』, (낙태반대연합, 1997), p.61-84.
1940년대만 해도 태아의 상태를 의학적으로 규명하는 생태학, 또는 발생학, 태아학이 없었다. 그래서 “태아는 인간인가”하는 문제는 개인신앙이나 감각의 영역으로만 여겨졌다. 그러나 현대의학의 발전은(1970년대 이후) 과학적으로도 태아가 유일하고 독특한 별개의 인간이라는 사실을 입증해 주었다.
23개의 염색체를 가진 정자와 23개의 염색체를 가진 난자의 만남으로 46개의 인간염색체를 가진 뚜렷한 인간으로서의 수정아(受精兒)가 창조된다. 이것은 토끼도 아니요, 홍당무도 아니다. 오직 인간일 뿐이다. 수정아는 인간의 모든 형질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향후 죽을때까지 인간이 되기 위해 더할 것이나 뺄 것이 없다. 단지 크기만을 키워갈 뿐이다.
목차
1. 언제 인간의 생명이 시작되는가?2. 성경은 무엇이라고 말하고 있는가?
3. 태아는 인간인가?
<태아의 성장 과정 정리>
4. 낙태
1) 한국 및 세계적 실태
2) 낙태는 어떻게 행해지는가
3) 낙태로 나타나는 그 영향(후유증)
4) 사회적 문제들로 인한 낙태(상황낙태)
5) 낙태를 주장하는 사람들의 이유
6) 의료계 현실
5. 결론적으로(개선방안)
6. 천국에서 만난 그 아기
7. 낙태관련 서적(복사물 참조)
본문내용
낙태에 대하여흔히 낙태라고 부르는 “인공 임신중절”은 잉태된 태아를 자연분만시기에 앞서서 모체로부터 인위적으로 분리시킴으로서 생명을 소멸시키는 것을 말한다. 과거에 인공유산 수술은 위험하고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했기에 거의 모든 국가에서 이를 법으로 금지해 왔다. 그러나 지금은 달라졌다. 의학이 발달되고 사회적으로 인구폭발에 대한 억제요구, 또 개인의 편리나 유익 혹은 사회적 이유 때문에 낙태를 손 쉽게 하게되었다.
국제가족계획연맹의 보고에 의하면 한해 전 세계 신생아 수는 9천만이고 그 중 낙태로 죽는 태아는 5천5백만명, 낙태수술을 받다가 사망하는 여성은 20만명에 이른다. 전세계의 2/3국가들이 인공유산을 부분적으로 합법화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법적인 문제와 상관없이 거의 모든 나라에서 오래전부터 고의적인 낙태가 일어나고 있다. 후진국에서는 무지로 인한 낙태가 유럽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여성해방운동과 개인의 자율권 보장에 대한 잘못된 적용으로 대부분의 나라에서 낙태가 합법화되어 있다.
1. 언제 인간의 생명이 시작되는가?
생명의 시작에 대한 이론을 크게 나누어 보면 수정되면서 식작된다는 이론(기독교, 카톨릭), 수정후 6주부터 시작된다는 이론(유대교), 자궁에 착상한 때부터 시작된다는 이론, 신경관이 생성되고 자극에 반응을 나타내는 수정 2주 후부터 시작된다는 이론, 뇌의 활동이 시작될 때부터 시작된다는 이론이 있으며, 요즘 많은 학자들은 수정후 태아가 어느정도 지각(감각) 작용과 의지 작용이 있을 때를 생명의 시작으로 보고 있으며 그 정확한 시기은 알 수 없으나 임신 제1기 (임신 3개월)가 훨씬 지난 다음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한 근거는 태아가 통증 자극을 인지하는 시기를 임신 20-24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맹용길 외, 『낙태』, (두란노, 1990)월키 부부, 『낙태』, (낙태반대연합운동, 1997)
로날드 알렌, 『낙태 과연 옳은가?』, (나침판, 1980)
도날드 슈메이커, 『임신중절과 성경의 가르침』, (생명의 말씀사, 1988)
리처드 원터, 『사람입니까』, (일지각, 1993)
황필호, 『산아 제한과 낙태와 여성해방』, (종로서적, 1990)
김현철 외, 『위기에 처한 아이들』, (예영커뮤니케이션, 1995)
프란시스 쉐퍼, 『낙태, 영아살해, 안락사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자세』, (생명의 말씀사, 1995)
로버트 오르, 『삶과 죽음의 선택 문제』, (생명의 말씀사, 1997)
니겔 캐머린, 『낙태:위기에 처한 기독 의료윤리』, (도서출판 횃불, 1993)
한국 가톨릭 의사협회 편, 『의학윤리』, (수문사, 1992)
“낙태와 생명윤리”, (1990년 반낙태 세미나 자료집)
“성폭행 임신 예방이 되는가?”, (낙태반대운동연합, 1998년)
“장기이식을 위한 뇌사 입법화의 문제점”, (낙태반대운동연합, 1997년)
“생명의 존엄성과 기형아 낙태”, (낙태반대운동연합, 1996년)
“태아생명의 존엄성과 미혼모 문제”, (낙태반대운동연합, 1996년)
“태아와 생명윤리”, (한국누가회, 1995년)
“교회와 낙태문제”, (낙태반대운동연합, 1998년)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생명을 사고파는 세상-비배우자간의 보조생식술 8페이지
- 안락사 찬성 6페이지
- [감상문] 의학 영화 패치 아담스 3페이지
- [생명의료윤리]낙태 8페이지
- [인권] 낙태에 대한 고찰과 견해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