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전.후간호
<수술전간호>
1) 병력/간호력 사정
2) 신체검진
3) 사회 심리적 사정
4) 임상검사
<수술후간호>
1) 척추마취 후 간호
2) 전신마취 후 간호
본문내용
< 수술 전 간호 >
1) 병력/간호력 사정
․ 연령
․ 담배, 알코올, 불법 약물 사용여부
․ 최근 투약력
․ 한약, 민간요법 등의 보완-대체요법 사용여부
․ 질병력
․ 과거 수술경험
․ 과거 마취 경험
․ 자가수혈 혹은 헌혈
․ 라텍스 괴민성등의 알레르기
․ 전반적인 건강상태
․ 가족력
․ 계획하고 있는 수술의 종류
․ 수술 관련 지식과 이해 정도
2) 신체검진
․ 심혈관계
․ 호흡기계
․ 비뇨기계
․ 신경계
․ 근골격계
․ 영양상태
3) 사회 심리적 사정
․ 대상자의 불안, 대응기전, 지지체계 확인
4) 임상검사
1) 척추마취후의 간호
(1) head down position을 취한다
- 척수 마취 후 두통을 예방하며 마취 후 두통은 뇌척수액이 빠져 나와서 생기는 증상이므로 베개없이 평평하게 누워서 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보통 8~12시간이 소요되나 24시간으로 한다.
(2) V/S을 측정한다.
- 1시간 동안 매 15분 간격으로 4회 그후 30분마다 2회, 60분에 1회를 안정될때까지 측정하나 이상이 있을 경우 자주 측정한다.
2) 전신마취 후의 간호
(1) V/S을 측정한다.
(2) 금식
- 위장관 연동운동이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으면 음식물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환자는 금식을 해야한다. 연동운동이 정상으로 될 때까지 환자에게 가스가 나왔는지 자주 확인하고 배출 후에는 order대로 식사를 제공한다.
(3) 심호흡
- 과소호흡을 없애고 정상 동맥혈 가스를 유지하기 위해 환자들에게 자주 심호흡을 하도록 격려한다. 마취후 기간동안 매 10~15분 간격으로 3~4회 깊게 호흡하도록 한다.
(4) 통증관리
- 동통은 수술 후 12~36시간까지 최대로 지속되다가 2~3일이 경과되면 점차 줄어든다. 진통시 필요하면 진통제를 투여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