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정의
II. EPIDEMIOLOGY
III. 분류
IV. 병인학
V. 골다공증의 위험 요인
VI. 임상적 양상
VII. 진단
VIII. 예방법
IX. 골다공증 물리치료
X. REFERENCE
본문내용
VIII. 예방법
⑴ 골량증가를 위해 Weight-bearing ex.(체중 지지 운동) 실시
⑵ 적절한 양의 칼슘과 비타민D 섭취
⑶ 과도한 다이어트를 피할것
⑷ 소금, 인산, 단백질, 카페인의 과량 섭취 금지
⑸ 호르몬 결핍방지
⑹ 골량을 감소시키는 bone-robbing drug를 피할것
⑺ 과도한 알콜 섭취를 피할것
⑻ 금연
⑼ 유연성, 근력 증가를 위한 운동
⑽ 바른자세 유지와 균형 유지를 위한 운동
IX. 골다공증 물리치료
1. 물리치료의 목표
: 골량이 손실되는 속도를 늦추어 골다공증을 예방, 회복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후만을 감소시키고, 전만을 유지하며, 고관절, 슬관절, 발의 정렬, 필요하다면 외적인 지지기구(ORTHOSIS)를 사용하여 기계적인 기능장애를 바로잡는 것이다.체간과 대퇴 주위의 근육들을 강화시키고, 관절 가동 범위를 유지하고, 협응력을 증진 시키고, 기계적인 불균형을 교정하여 퉁증의 경감, 자세의 개선, 상하지의 근력 증가, 고정으로 인한 골손실의 예방 등을 목표로 한다.
2. TECHNIQUE
: 관절 통증이 있을 경우 ice pack ,전기 자극 치료( ultrasound, TENS ), massage, MFR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ROM Ex. Strengthening Ex.를 적용시킨다.
3. 항 골다공증 운동 프로그램
⑴ 목적
: 골량을 만들고 뼈 손실을 예방하는 운동들은 자세의 개선, 근력 강화, 자신감, 균형, 육체적 활동 증진, 독립성 회복, 통증 경감, 불면증과 식욕 결핍의 호전, 민첩성 증진에 있다. 또한 척주의 손상을 예방하고 낙상을 피하는데 도움을 주어 낙상때에 접지면에 쿠션 작용을 하게 한다. 그 외 스트레스를 줄이고 심폐기능의 적정성을 얻게 된다.
참고자료
· ① 재활학과 91학번 : 질환별 물리치료학 : p282-292 : 재활학과
· ② Kottke, Stillwell et al : Krusen`s Handbook of Physical Therapy and
· Rehabilitation ; p1169-1208 : Saunders
· ③ Jhon F : Atlas of Osteoporosis : Aloia
· ④ Guccione AA : Geriatric Physical Therapy : Mosby-Year book Inc. 1992
· ⑤ Rossman : Clinical Geriatrics : p 460-473 : Lippincott
· ⑥ Delisa JA : Rehabilitation Medicine ; p865-875 : Lippincott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