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화학]pH 산도 알칼리도
- 최초 등록일
- 2006.04.05
- 최종 저작일
- 2006.03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pH가 의미하는 바를 이해하고 pH의 정확한 측정방법을 익힌다
산도의 개념을 이해하고 산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정확히 익히고, 지시약에 대해 안다
알칼리도란 수중에 함유되어 있는 탄산염류(CO32-) 중탄산염류(HCO3-) 수산화물류(OH-) 등의 알칼리분을 탄산칼슘(CaCO3)으로 환산하여 1L 중의 mg량으로 표시한 것으로 산을 중화시키는데 필요한 능력을 말한다.
목차
실험 Ⅲ. pH
1. 서론
2. 실험방법(시약, 실험도구, 실험 절차)
3. 결과
4. 결론
실험 Ⅳ. 산도
1. 서론
2. 실험방법(시약, 실험도구, 실험 절차)
3. 결과
4. 결론
실험 Ⅴ. 알칼리도
1. 서론
2. 실험방법(시약, 실험도구, 실험 절차)
3. 결과
4.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험 Ⅲ. pH
요 약 문
pH가 의미하는 바를 이해하고 pH의 정확한 측정방법을 익힌다.
1. 서론
1.1. 실험 목적
pH meter의 사용법을 알고 주어진 시료의 pH를 측정을 통하여 측정법을 정확하게 익힌다. 측정한 결과의 의미를 이해하고 환경공학에서 pH가 가지는 의미를 알 수 있다.
1.2. pH
[H+]는 매우 작은 값을 가지므로 서로 간단히 비교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H+]의 크기를 간단히 표시하기 위하여 덴마크의 화학자 이 1909년 『수소 이온 농도의 역수의 상용로그 값』으로 물은 용액에서 ph라는 수치를 만들어, 이 수치로써 그 물질이 산인지, 염기인지를 나타내고, 그의 세기를 아는 척도로 쓰기로 하였다.
pH =
또, [H+] = M
여기서 ph를 수소 이온 지수라 한다. 순수한 물의 수소 이온 농도는 [H+] = M 이므로, 그 pH는 pH = -log[H+] = -log = 7
25℃에서 수용액의 액성을 pH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산성용액 [H+] > 1.0 × mol/L > [OH-] pH < 7
중성용액 [H+] = 1.0 × mol/L = [OH-] pH = 7
염기성용액 [H+] < 1.0 × mol/L < [OH-] ⇒ pH > 7
마찬가지로, 수산 이온 농도의 역수의 상용로그 값은 수산 이온 지수(pOH)라 한다.
참고 자료
•Clair. N. Sawyer 외 명, Chemistry for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 science fifth edition, 『환경화학』, 5판, 동화기술, 2005, pp.585~589, 591~597, 599~609.
•김형석, 『수질 분석 및 실험』, 초판 1쇄, 신광문화사, 2004, p. 129~ 134.
•박정규외 7명, 『최신 수질관리』, 1판 3쇄, 동화기술,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