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배비장전에 관하여
- 최초 등록일
- 2006.03.25
- 최종 저작일
- 2005.10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배비장전의 개략적인 개요와 이해및 감상, 그리고 그 속에서 엿볼 수있는 여러가지 것들을 모아놓았다.
목차
1. 배비장전 작품개요
2. 배비장전의 이해 및 감상
3. 배비장전 깊게 엿보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Ⅲ. 배비장전 깊게 엿보기
①계층간의 갈등 대립
애랑은 이 작품의 중심 인물이며 애랑에게 당하는 정 비장은 양반 계급을 나타내며, 특히 애랑이 방자와 함께 배 비장의 위선을 폭로하는 후반부가 이 작품의 중심 사건이 되고 있다. 여기에서 정 비장이나 배 비장은 중인 계층이지만 제주도의 통치자로 들어온 사람들로 유교적 윤리로 무장된 지배층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고, 이에 반하여 애랑과 방자는 피지배 계급인 제주도 토착민을 대표한다. 따라서, 이 작품은 피지배 계층인 토착민과 지배 계층인 외래인과의 갈등에 근거하여, 피지배 계층이 관료 사회의 착취상을 폭로 고발하고, 위선에 찬 지배층의 행태를 신랄하게 풍자하고 있다고 하겠으며, 이 작품을 이조 후기의 작품으로 본다면 그 당시 사회적 분위기가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②애랑과 정 비장의 역할
이 작품의 중심 인물인 애랑은 일패에 속하는 기생으로 양반과 작별하는 자리에서 애랑이 온갖 교태로 정비장의 재물을 탈취하는데 이것은 확대시켜 본다면 탐관오리의 재물을 되찾는다는 의미를 상징하며 기생에게 재물을 줄 수 있다는 것은 그 당시 관리들이 부정 비리를 통해 많은 재물을 착취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폭로하고 있다는 의미도 지닌다. 또 당시 기생 신분이지만 작품의 중심에 서있는 기생은 여성의 권익 쟁취는 아닐지라도 여권 내지는 여성들의 생각을 밝히고 있다는 측면에서 여성들의 생각이 발전적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암시를 주고 있으며, 애랑을 통해 정비장의 이별 장면이 희화화되면서 양반으로 대표되는 남성의 위선 의식을 폭로하는 계기를 만들고, 또한 배비장으로 대표되는 지배계층의 이중성과 위선과 허위를 드러내는 계기가 되고 있으며, 양반 계급을 웃음의 대상으로 만들고 있다는 측면은 서민들의 지배적 정서의 발로가 아닌가 생각된다.
참고 자료
金三不, 『裵裨將傳』(國際文化館, 1950)
張德順, 『韓國說話文學硏究』(서울大學校出版部, 1970)
李石來, 『裵裨將傳의 諷刺構造』(韓國小說文學의 探究, 一潮閣, 1978)
權斗煥·徐鍾文, 『房子型人物考』(韓國小說文學의 探究, 一潮閣, 1978)
權斗煥, 『裵裨將傳硏究』(韓國學報 17,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