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선사회는 성리학을 근간으로 하여 오백년을 지속시켜왔다. 王道政治의 구현을 목적으로 그들은 禮治와 德治를 주장하였으며 民生安定과 民生敎化에 힘썼다. 이러한 민생교화책의 하나로 서원의 성립을 들 수 있다. 서원은 이후 사학교육기관으로써 뿐만 아니라 지방 사림들의 集合所로써, 公論을 형성하여 조선시대의 정치문화상으로나 사회적으로 중대한 역할을 수행했다. 최초의 서원은 백운동서원으로써 이를 시작으로 이황의 서원보급운동을 거쳐 17세기에 이르면 많은 수의 서원이 건립되게 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서원이 등장하게된 시대적`사상적 요구사항을 살펴보고 초기 서원의 성격을 고찰해 냄으로써 그 당시 서원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목차
Ⅰ.머리말
Ⅱ.書院의 成立背景
1.勳舊派의 부패와 士林의 政治參與
(1)경제 발전과 훈구파의 부패
(2)사림세력의 훈구파 비판과 정치참여
2.官學의 不振
3.性理學의 성격변화
Ⅲ.書院의 成立過程
1.周世鵬의 白雲洞書院 건립
2.退溪의 書院普及運動
Ⅳ.16세기 書院의 性格
Ⅴ.맺음말
본문내용
원의 성립은 국초부터 야기되었던 관학의 부진과 기존의 훈구세력들의 부패와 이를 비판하면서 등장한 사림계열의 대립 속에서 이루어졌다. 기존의 유향소보급운동과 향약보급운동과 마찬가지로 서원의 성립도 훈구세력의 견제 속에서 이루어졌으나 그 설립주체가 훈구적인 색체를 띄는 인물이었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백운동 서원이 설립되게 된다. 이러한 백운동 서원은 기존의 관학과 마찬가지로 강학과 장수처로써의 성격이 두드러졌다.
하지만 명종 4년, 이황의 사액요청으로 시작된 서원의 보급운동으로 서원의 성격이 변화한다. 그 설립과 운영의 주체는 사림세력으로 대체되었고 사림세력이 정치적 안정을 이룬 16세기 말에 들어서면 봉사자도 다양해지게 된다. 또한 기존의 사마소와 유향소의 역할을 대신함으로써 서원은 향촌 내에서도 자리매김 해나가기 시작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참고문헌
사료
『太宗實錄』『世宗實錄』『成宗實錄』『中宗實錄』『明宗實錄』
『武陵雜槁』 『退溪全集』『列邑院宇事蹟』『紹修書院謄錄』
단행본
尹熙勉, 2004 『조선시대 서원과 양반』, 집문당
鄭萬祚, 1997 『朝鮮時代 書院硏究』, 집문당
李泰鎭, 1990 『朝鮮儒敎社會史論』, 지식산업사
李泰鎭, 1985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범조사,
논문
鄭萬祚, 1987,「서원과 당쟁」, 韓國史硏究入門
高錫珪, 1987,「朝鮮 書院 ․ 祠宇에 대한 연구의 추이와 그 성격」, 『外大史學』1
金恒洙, 1981, 「16세기 士林의 性理學 理解」 한국사론7 pp.129~130
李秉烋, 1981,「書院과 朋黨」, 韓國史硏究入門
姜周鎭, 1980,「書院과 그 社會的 機能」, 韓國史論 8, 國史編纂委員會
崔完基, 1980,「朝鮮朝 書院成立의 諸問題」, 韓國史論 8, 國史編纂委員會
尹熙勉, 1980,「白雲洞書院의 設立과 豊基士林」,『震檀學報』49
李泰鎭. 1978,「士林과 書院」, 한국사 2, 國史編纂委員會
崔完基, 1975,「朝鮮 書院一考 - 成立과 發達을 中心으로」歷史敎育 18
李泰鎭. 1973. 「士林派의 留鄕所 復立運動」下, 『震檀學報』
閔丙河, 1970,「朝鮮時代의 書院政策考」, 大東文化硏究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