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음악의 이해시간에 제출한 레포트입니다.
팔레스트리나에 대해 꼼꼼히 정리했습니다.
a+ 받았구요, 유용한 자료로 사용하세요..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르네상스시대의 음악
⑴ 르네상스시대음악의 개괄
⑵ 르네상스와 자유로운 창작
⑶ 인간중심의 음악
2. 팔레스트리나 (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1525-1594)
⑴ 팔레스트리나의 생애
⑵ 팔레스트리나의 음악
⑶ 팔레스트리나의 작품
① 교황 마르첼리 미사 (Missa Papae Marcelli)
② 성모 승천 미사 (Missa Asumpta es Maria)
③ 작은 미사 (Missa Brevis)
④ 스타바트 마테르 (Stabat Mater)
Ⅲ 결론
*참고서적*
본문내용
⑶ 인간중심의 음악
흐르는 듯 부드럽게 나아가는 그레고리오 성가에 비해 르네상스 음악은 약간 무디고 딱딱한 느낌을 준다. 그러나 여러 소리가 풍부하게 어울려 음악을 듣는 즐거움을 준다는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악기들이 쓰이게 되었으며, 노래가 빠진 악기만을 위한 기악곡도 나타났다. 그렇지만 여전히 종교적인 주제를 가진 음악들이었다. 성가 역시 새로운 음악의 영향을 받아 크게 탈바꿈했다. 이어서 종교 개혁이 일어나자, 신교도들은 완전히 새로운 음악 형식에 따라 찬송가를 만들어 부르게 되었다. 민속 음악들은 여전히 민속 음악의 자리에 있었다. 그러나 예전처럼 민속 음악을 천박하게 여기거나 멀리하는 일은 없었다. 사람들의 일상생활 속에 민속 음악이 자연스럽게 자리 잡아 모두 음악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종교 음악과 민속 음악이 나란히 놓이게 되자, 그 두 가지를 골고루 섞은 음악인 창작 음악이 나타나 음악도 미술이나 문학과 함께 예술이 되었다. 그전까지는 예배의 한 부분에 들었던 종교 음악과 오락을 위한 민속 음악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러면서 여러 가지 작곡법이 나타났고, 작곡가들은 자기의 뜻과 느낌을 또렷하게 나타낼 수 있게 되었다. 또 신에게 바치는 음악이 아니라, 음악을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아름답고 감정이 흘러넘치는 음악을 만들었다.
르네상스 음악가들의 작품은 밝고 균형이 잘 잡혀 있다. 꾸밈음이나 떨림음, 당김음들을 장식음이라고 하는데, 민속 음악에는 장식음이 많지만 르네상스의 창작 음악들은 장식음이 거의 없었다. 그것은 듣는 이들에게 기쁨, 즐거움, 힘, 슬픔 따위의 감정을 억지로 안겨 주지 않겠다는 뜻이었다. 그러나 사람들의 마음과 깊은 정신이 깃 들인 시를 주제로 하는 일이 많았다. 그 시의 내용과 형식을 음악으로 살려내기 위해 장식음들을 멀리하고 균형을 중요하게 여겼던 것이다.
참고자료
· 서양음악사 상 : D. J. 그루트, 김진균 외 역, 세광음악출판사, 1988
· 음악사 이야기, 김동환 역, 음악춘추사, 1999
· 16세기 제퍼슨 대위법 : K. 제퍼슨, 이찬해 역, 수문당, 1987
· Palestrina : Jerome Roche, Oxford Univ. Press, 1971
· Music in the Renaissance, rev. ed. : Gustave Reese, 1959
· Palestrina : Henry Coates, 1938(reprinted 1979)
· 인터넷 : http://www.renaissancemusic.pe.k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