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문과 졸업논문으로 제출했던 겁니다~^^
목차만 조금 손보셔서 바로 제출해도 될만큼 완벽합니당^^
논문 형식에 맞추다 보니 한자가 좀 있네요^^::
목차
Ⅰ. 서론
1. 연구목적과 방향
Ⅱ. 본론
1. 인물분석
1) 「무정」에서의 애정관과 敎育觀
① 「무정」에서의 애정관 : 신분상승과 개인적 야망
② 「무정」에서의 교육관 : 敎育에 의한 계몽의 의지
2) 「무정」에서의 신여성상
-Anima적 여성상의 형상화 - 병욱
2. 「무정」의 근대의 수용과 기독교
1) 계몽의 형상화
2) 기독교와 조선적 박애주의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본 논문은 이광수의 「무정」의 인물분석을 통하여 근대적 사고와 신여성상, 계몽주의, 애정관과 교육관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무정」에 나타난 기독교사상이 계몽, 개화, 민족조의 정신과의 밀접한 관련양상을 보인다는 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Ⅱ. 本論
1. 人物 分析
이형식을 중심으로 한 과도기적 인물은 부와 명예에의 욕망에 사로잡힌 인물들이다. 형식을 통해서 개인적 욕망과 개인 이상(以上)에의 욕구는 이율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그에게 출세에의 욕망은 윤리의식의 부재를 설정하도록 하는 근본적 요인이며 그의 급진 개화 주의적 사회의식은 일제의 식민정책과 교묘히 타협하고 있음을 밝혔다.
영채를 중심으로 한 구식여성은 이 작품의 개화의식을 보다 선명히 드러내기 위한 장치였다. 영채는 보수개화주의자였던 부친을 통해서 개화의식을 암시받은 인물이지만, 이 작품에서 영채는 보수적 윤리의식의 소유자로만 설정되어 있다. 결국 그녀는 친일적 개화여석인 병욱을 통해서 수난으로부터 구원되어 일본유학을 떠나는 것으로 설정됨으로써, 급진개화주의에 의한 보수 세력의 무력화를 암시하게 된다.
서로 대립적인 인물들의 부수적 인물간의 유형분성은 「무정」의 사회의식을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보수 개화세력을 대변하고 있는 박진사와 친일적 급진개화세력을 대변하는 김장로의 대립, 역사 민족주의자 인 배학감과 친일적 유학생인 김병욱의 영채를 중심으로 한 대립묘사, 약탈자로 설정된 동학군과 민중구원자로 등장한 경찰저장의 대립은 이 작품의 사회의식을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전자는 부정적이거나 후자에 의한 패배자로 설정되어 있다. 「무정」은 전대소설(前代小說)인 「춘향전」, 「숙향전」, 「채봉감별곡」 등과 삽화의 일치를 보이고 있으며, 형식과 영채는 이조소설(李朝小說)의 영웅적인 귀족문학의 주인공과 인물유형에서 일치한다.
참고 자료
이광수, 『혼인에 대한 편견』
장윤수, 『한국 근대 교육소설 연구』, 서울 : 보고사, 1988.
신현재, 『이광수 소설의 분석적 연구』, 서울 : 삼지원, 1986.
정진경, 『성역할 연구의 양성적 시각』<한국 여성학> 3집, 1987.
김 현, 『이광수』, 문학과 지성사, 1979.
송명희, 「이광수의 <개척자>와 나혜석 <경회>에 대한 비교연구」, 비교문학 제20집, 한국 비교문학 회, 1995.
구인환, 『이광수 소설 연구』, 삼영사, 1996.
차현숙, 「춘원의 장편소설에 수용된 기독교 사상연구 - <무정>, <재생>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육 대학원, 2003
정인화, 「<무정> 연구」, 충남대학원, 1983.
황수진, 「한국 근대소설속에 나타난 신여성상 연구」,건국대학원, 1998.
신신옥,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애정관과 교육관에 대하여」, 동국대학교육대학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