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문헌고찰
1) 복막염
복막염은 내장을 덮고 있는 복막의 국소적 혹은 전신적 염증으로 미생물의 침 입이나 자극물의 접촉으로 발생한다.
복막은 안쪽의 복벽을 따라 늘어선 벽 측 복막과 복부의 장기가 그 뒤로 있는 장측 복막으로 된 장액성의 막이다. 복막은 혈류와 복강 사이에 수분과 전해질의 흐름을 허용하는 반투과성 막의 역할을 한다.
복막은 피부의 막과 거의 동등한 표면을 가기고 있으며 복막강이라는 커다란 잠재공간으로 정의된다. 정상적으로 이 공간에는 50ml이하의 유리체액이 존재한다. 이 체액은 무균성이며 깨끗하고 노란색이며 대부분이 대식세포와 림프구가 3000개/㎣ 이하의 세포를 포함한다.
복막강내로 유입되는 자극물, 박테리아, 다른 미생물들은 국소 방어기전을 자극한다. 이 방어기전은 자동적으로 복막강내로 들어온 박테리아와 다른 물질들을 없애며, 대식세포들이 처리할 수 있도록 박테리아들을 격리하고 고립시킨다. 박테리아와 작은 물질을의 기계적인 제거가 이물질들이 복막강내로 들어오자마자 시작된다. 림프관으로의 흡수를 위해서 복막강내의 체액이 횡격막 표면으로 흐르면서 물질들을 운반한다. 흡기 동안의 횡격막 수축과 흉곽내의체액이 횡격막 표면으로 흐르면서 물질들을 운반한다. 흡기 동안의 횡격막 수축과 흉곽 림프관으로의 체액흐름을 증진시킨다.
림프관은일방향성 밸브에의해 역행되는 것을 막는다. 림프관에서 혈류로 박테리아와 그 생산물이 배액되면 복막염의 전신적인 증상들이 발현된다. 염증, 면역 반응이활성화되어 기계적인 제거와 함께 상주하는 대식세포에 의해 더 많은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상주하는 대식세포의 역할은 박테리아를 고착시키고 소화하는것이다. 복막으로의 미생물 침입은 국소 염증반응을 일으킨다. 이 반응은 복막 맥관 구조의 충혈, 모세혈관 투과성의 증가, 혈관내에서 복막내 공간으로의 체액이동을 포함한다. 삼출물은 활성화된 보체들을 포함한다. 이 보체는 박테리아의 식균작용을 돕고 호중구를 유인한다. 2~4시간 안에 호중구가 대식세포를 대신하여 우세한 식균세포가 된다.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또한 면역단백의 하나인 시토신(Cytokinew)을 방출한다. 이시토신에는 종양괴사인자, 이터루킨, 대식세포 집락자극인자 등이 포함된다. 이런 시토신들은 염증 반응을 더 잘 조정한다. 이 삼출액에는 피브리노겐이 풍부하다. 이 피브리노겐은 조직 트롬보플라스틴과 응혈촉진성 시토신에 의해 피브린으로 전환된다. 피브린의 침전은 박테리아를 격리시키고 장 루프와 장막에 부착되어 침범된 조직체를 효과적으로 둘러싼다.
역설적으로 복막의 박테리아 침입에 대한 이러한 국소방어 반응은 역으로 숙주 자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림프관으로부터 박테리아가 흡수되면 균혈증이 되며 이는 패혈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혈관에서 복막강내로의 막대한 양의 체액이동은 혈액량이 부족하게되는 원인이 되고, 심각할 경우에는 저혈량 쇼크를일으킨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