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깔끔하고 세심하게 잘 정리되어 있는 자료입니다. 지난 한 학기 동안 여러 명의 조원들이 모여 준비한 발표자료로 조원 모두 A와 A+을 받은 레포트이니 여기에 여러분의 의견과 자료를 조금씩만 더한다면 원하시는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을 겁니다.목차
1. 들어가며2. 도깨비감투설화
3. 도깨비감투 설명
4. 일본의 도깨비
5. 도깨비의 어원
6. 여러 서적속의 도깨비 이야기
7. 도깨비와 귀신의 관계
8. 도깨비의 민간 신앙적 특성
9. 역대 문헌 속에 나타난 도깨비
(1) 고대
(2) 삼국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10. 각 시대별 도깨비 모습
(1) 삼국시대
(2) 통일신라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11. 조자용 박사의 도깨비 연구
12. 도깨비 불
13. 도깨비의 모습과 특징
14. 도깨비의 활동 무대
15. 도깨비의 활동 시간
16. 도깨비와 대결하기
17. 도깨비 장난
18. 도깨비의 양면성
19. 도깨비의 허상과 실상
20. 현대에서 중시되는 도깨비 문화
(1) 붉은 악마의 탄생
(2) 붉은 악마의 이름 유래
(3) 우리 문화 속 도깨비와 치우천왕
21. 맺음말
본문내용
도깨비는 우리에게 있어 무엇인가. 한마디로 도깨비를 정의할 수는 없다. 구전되는 이야기에 도깨비가 등장하고 여러 조각이나 그림에서 도깨비를 대할 수 있어 한국인의 마음 한 구석에 존재하기는 하지만 이를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는 없다. 그러나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신차이나 귀신과 같은 성격의 것도 아니다. 도깨비는 한자로 독각귀, 즉 다리가 하나인 귀신으로 표기하고 있어 귀의 일종으로 인식될 우려가 있으나, 이와는 다른 종류의 어떤 것임을 전해지는 설화나 속담 등에서 알 수 있다. 도깨비는 귀류 와는 다르다. 귀라 함은 우리의 경험적 세계를 초월한 영로적인 존재를 이르는 것으로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 하나는 조상이 죽어 후손에게 좋은 영향력을 미치는 조상신이나 업적 이 있는 유명한 장군의 넋, 충의를 가진 임금의 넋이라 전해지는 바와 같은 사람들이 신앙으로까지 섬기거나, 모시는 것으로 신이라 할 수 있다. 즉 산신, 천신, 조상신을 이른다. 다른 하나는 원한을 가지거나 한사람이 죽어, 흔히 일컫는 저승에도 가지 못하고 떠도는 원혼의 귀신, 인간에게 악행을 하거나 보복을 하려하는 공포의 대상이나, 병마, 액운, 등을 이르는 귀신이다. 이와는 달리 도깨비는 조상신처럼 모시거나 제의를 갖추어 주는 대상도 아니요, 사람이 꺼리며 무서워하기만 하는 공포의 대상도 아니다. 즉 천신, 산신 등의 신보다는 하위의 개념이며, 귀신과 동등한 인식의 대상도 아니다. 도깨비는 현대인뿐 아니라 옛 사람들에게도 `헛것`으로 인식되어왔고, 그의 출처나 특성 등이 뚜렷하게 특정 지워지지 않았다. 귀신과 도깨비는 같으면서 다르다. 귀신과 도깨비는 으슥한 곳을 좋아하고, 야음에 나타나 새벽이면 사라진다. 즉 사람이 활동하지 않는 시간과 사람이 접하지 않는 장소에 나타나는 것이다. 나타나는 형태는 한 마디로 규정지을 수 없다. 도깨비가 나타나는 형태는 때로 대개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공포스러운 분위기의 불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며, 환한 불빛이 되어 사람을 인도하여 주기도하고, 소리만 들린다든지, 돌이 날아온다든가 하는 어떤 현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또 귀신은 사람의 변형이거나 물건에 신이 깃들어 변형된 것임에 반하여, 도깨비는 사람이 쓰던 물건에 정령이 붙어 조화를 부린 물체 그 자체의 변형이다. 귀신과 도깨비는 사람과 떨어져 있지만, 귀신은 사람 사는 쏙 밀접한 곳에 있거나 - 어느 집의 헛간, 안 쓰는 방, 뒷뜰 등 -경계부근에 있다. 도깨비는 마을의 밖이나 흉가와 같이 사람의 생활과 분리된 곳에 거주한다. 귀신은 어떠한 목적, 즉 보복을 하거나 사람을 괴롭히려는 목적, 혹은 이로움을 주려하는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나타나는데, 이와 달리 도깨비는 민가에 와서 장난을 하는가하면 지나는 행인에게 씨름을 청하기도 하는 뚜렷한 목적으로만 등장하지 않는다. 또 마음이 허하면 보인다는 이야기도 있다.참고 자료
한국의 도깨비 연구 <김 종 대> 국학자료원저기 도깨비가 간다. <김 종 대> 인터넷
도깨비 날개를 달다 <김 열 규> 춘추사
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정신문화연구소
한국인 우리들은 누구인가? <김 열 규> 인터넷
도깨비의 발생과 그 존재 방식 <최 길 성> 전통문화,85년 12월호
한국 전통 문양 3 도깨비 문양 <안 상 수> 안그라픽스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국문학]한국문학과 도깨비 고찰 11페이지
- [구비문학]도깨비설화연구 - 도깨비, 민중이 탄생시킨 신 8페이지
- [민간신앙으로서의 도깨비]도깨비신앙 11페이지
- 도깨비 22페이지
- [한국무속] 한국의 도깨비 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