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는 1970년대에 급격한 산업화의 과정에 돌입하여 여러 가지 사회변동을 겪게 된다. 이러한 산업화 과정에서 문학은 사회변화와 그 갈등양상을 문학의 영역에 끌어들이고 있다. 그러나 70년대 문학은 그 의미와 성과에도 불구하고 문학적 세련성을 골고루 갖추지 못했다. 정치와 사회적인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자유에 대한 신념을 과격하게 내세웠고, 계층적인 갈등과 대립을 강조했다. 더구나 통속적인 대중문화의 범람 속에서 문학의 위치를 고수하기 위해 지나치게 근엄하고자 했다. 이렇듯 70년대 문학은 주제의 치열성만 돋보이고 기법의 과격성이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70년대 소설의 두 번째 특징은 산업화에 의한 농민들과 도시 노동자들의 고통스런 생활이 작품 속에 드러나는 것이다. 황석영은 「객지」, 「삼포가는 길」을 통해 노동의 현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생존조건과 그 타결점을 모색하고 있다,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은 독립된 단편 소설들의 결합에서 삽화적인 장편소설에 이르는 전형적인 연작소설의 형태를 보여준다. 산업화시대 소설문학의 큰 성과로 꼽히는 이 작품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 반리얼리즘적인 독특한 단문형의 문체 및 서술자와 서술 상황을 바꾸어 기술하는 시점의 이동 등이 연작의 형식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윤홍길은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직선과 곡선」등의 연작에서 왜곡된 산업화가 초래한 사회적 모순을 비판적 시각으로 포착하고 있다. 이 소설들에서 작가는 문제적 개인으로 형상화되고 있는 주인공을 통해 자의식의 탈피, 노동 현장에의 투신, 새로운 가기 각성 등으로 이어지는 의식의 성장을 추적하면서 한 시대의 정신적 징후를 드러내고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