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한국 전기체적 소설
- 최초 등록일
- 2006.01.19
- 최종 저작일
- 2005.12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한국 전기체적 소설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특히 <최치원, 금오신화, 기재기이>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기도 하였습니다.
(이 레포트 덕분에 한국고전문학입문 수업 점수가 잘 나왔답니다
)
목차
1. 전기체적 소설이란?
2. 전기체적 소설의 의의
3. 전기소설의 형성 배경(나말여초)
4. 전기 소설의 특징
5. 작가의 창작의식
6. 문체적 특징
7. 전기 소설 작품
* 고소설 사에서 최초의 소설을 금오신화로 보는 이유(금오신화 전에 몽유록, 가전체 소설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 무엇일까?
8. 특징적인 3작품 (최치원, 금오신화, 기재기이를 예로 들어 설명)
본문내용
1. 전기체 소설이란?
「기이한 것을 전한다」는 뜻으로, 육조의 지괴와 커다란 차이는 없다. 당의 작품명이었는데, 후세에 당인 소설을 지칭하게 되었으며 명.청대는 전기라는 말이 그 시대의 희곡인 성문을 지칭하게 되었다. 이 용어가 문학사사의 용어로 정착되어 당인소설이 일부로 사용된 것은 근래의 일인데, 이 때의 전기는 당인소설 중에 서도 문언으로 쓰여진 본격적인 현대의 단편소설에 가까운 형식의 소설을 의미한다.
전기는 현실세계의 사건까지도 자신의 소재로 활용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초현실적.환상적 사건이라 할지라도 현실에 바탕한 합리적 세계 인식으로 재해석하여 의도적 허구화의 소재로 변용시킬 수 있었다. 이렇게 해서 ‘환상성’ 과 ‘현실성’ 이라는 다소 상반된 두 속성을 그 출발에서부터 갖고 ‘낭만성’이란 양자의 통합적인 측면을 넣었다. 뿐만 아니라, 이 ‘전기’ 라는 용어는 소재적인 측면을 넘어서 작품 형상화의 구성 원리까지도 아울러 내포하고 있는 개념이다. ‘전한다’ 혹은 ‘기록한다’ 라는 정도의 의미를 지니는 ‘傳’은 본래 記. 志 .識. 紀. 誌 의 다섯 글자와 음과 뜻이 상통하였으며 한 글자였다고 한다.
2. 전기소설의 의의
17세기 전반기를 전후한 시기에 우리나라 전기소설은 최고의 발전을 이룩한 동시에 전기소설에서 이탈하는 조짐들을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탈의 조짐은 우선 작품 분량의 확대에서 살필 수 있다. 사실 전기소설은 단편 양식으로서 길이가 그리 길지 않다. 그러나 언어 문화적 상황과 민족적 현실, 그리고 삶의 조건은 이전의 짧은 편폭의 소설로는 적당하지 않거나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곤란했으며, 이에 따라 좀 더 길거나 훨씬 더 긴 새로운 소설형식의 모색이 불가피했다. 새로운 소설형식은 기존의 지배적 소설양식이었던 전기소설을 변개하면서 그 가능성을 확장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국문으로 된 새로운 소설양식을 개척하는 것이었다.
참고 자료
한국 고소설 연구 - 최운식 외 지음
인터넷 정보 수집
그 외 학교도서관에서 참고 (참고자료가 잘 생각이 안나네요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