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
1) 자기정체성의 탐색과정
2) 오이디푸스의 결함
3) 신의 뜻과 인간의 자유의지
■ 오이디푸스 왕의 줄거리
■ 등장인물 분석
본문내용
■ 주제
1) 자기정체성의 탐색과정
2500년이 흘렀지만 오이디푸스가 겪었던 자기 정체 탐색의 고통과 그 장엄한 패배가 아직도 기억되는 이유는 오이디푸스의 고통, 그 문제가 바로 인간 본연의 문제, 인간 삶의 기본조건을 건드리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오이디푸스의 내적 자아가 ‘버려진 아이, 주어온 아이’라면 외적 자아는 테베의 ‘왕’으로서의 당당한 모습이다. 코린트 왕의 아들로서 왕자로 자라 스핑크스를 물리치고 이오카스테와 결혼하여 성공적인 통치를 한 패기만만한 왕이 바로 오이디푸스의 외적 자아라고 할 수 있다. 번영과 힘, 부와 명예, 건강, 젊음 등 만인으로부터 부러울 것 없던 그였다. 하지만 그와는 대비되게 연약하고 상처임은 ‘버려진 아이, 주어온 아이’로서의 오이디푸스는 거리감이 있고 모순되어 보아이지만 어느 순간 이 두 자아가 만나 합쳐지게 된다. 왕인 오이디푸스가 ‘버려진 아이, 주어온 아이’로서의 숨겨져 있던 내적 자신을 발견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며 화려하고 행복한 현재의 자신의 모습 너머, 깊숙이 가장 부끄럽고 비참한 죄인의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오이디푸스의 자아탐색의 과정을 통해 참 자신을 발견하고 진실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2) 오이디푸스의 결함
오이디푸스의 비극의 원인이 되는 성격적 결함 혹은 실수는 무엇 일까.
오이디푸스의 결함으로는 첫째 성급함 혹은 충동적 분노를 꼽을 수 있다. 테베로 오는 삼거리에서 라이오스 왕과 언쟁이 벌어졌을 때 비록 라이오스가 그를 먼저 쳤다고는 하나 신탁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혈기에 못 이겨 그를 죽인 것은 성급함이 부른 치명적인 실수였다. 또한 테레이시아스가 라이오스 왕의 살해자 이름을 밝히지 않을 때 그를 비난하며 라이오스 살해에 결탁된 범인으로 모는 것은 왕으로서의 그에게 전혀 어울리지 않은 충동적인 모습이다. 게다가 크레온을 대뜸 자신의 생명과 왕위를 노리는 반역자로 몰아붙이는 행위 역시 경솔하고 성급한 행동이라 하겠다.
그의 또 하나의 성격적 결함으로 교만을 들 수 있다. 그의 교만의 제일 근거는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를 풀었다는 지적능력에서 비롯되었다. 그를 왕이 되게 한 것은 바로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를 푼 능력, 그 업적으로부터 왔다. 그 후 또 다시 테베에 재난이 닥치자 테베의 시민들은 오이디푸스의 능력으로 다시 그들을 구해줄 것을 간청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