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과 사회현상]명품선호 현상의 실태와 문제점
- 최초 등록일
- 2005.12.26
- 최종 저작일
- 1997.01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글쓰기와 읽기 시간에 쓴 논문형식의 레포트인데요,
학위 논문 형식과 같게 하려고 노력했으며,
각주, 참고문헌 등 빠지지 않았습니다.
p.s.점수도 좋았어요~
목차
Ⅰ. 서론
Ⅱ. 명품소비의 실태
1. 명품의 정의와 속성
2. 명품소비의 현주소
Ⅲ. 명품선호의 원인
1. 과시적 소비의 근원
2. 명품지향소비를 일으키는 사회적 배경
Ⅳ. 앞으로의 대책
1. 합리적이고 현명한 소비의식 정착
2. 국내 브랜드의 발전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난 몇 년 사이 부쩍 자주 많이 쓰이게 된 단어 중의 하나는 명품이다. 백화점에 자리 잡은 수입 명품관, 인터넷의 수입 명품 사이트, 이런 저런 광고에 흔하게 등장하는 명품, 이런 식으로 우리는 명품이란 단어를 자주 접한다. 지난해 경기침체의 여파로 전 세계적으로는 명품 브랜드들의 성장세가 주춤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만은 해외 명품 브랜드들의 매출이 50% 이상 증가한 경우가 많았다. 명품 소비 계층이 부유한 중년층에서 대학생, 청소년으로까지 확대되면서 국내의 명품 수입량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교복을 입은 채로 샤넬매장에서 꽁빡뜨를 고르고 있는 모습, 가짜라도 상관없으니 명품형태의 백을 사겠다는 여대생, 몇 백만원짜리의 옷과 구두를 사기위해 룸살롱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명품에 중독된 여성들. 이제 명품선호는 빈부나 나이, 성별에 관계없이 붐이 되고 있는데, 시사 프로그램에서도 한국인의 유별난 명품 소비 성향에 대해 근 몇 년동안 지속적으로 보도가 되고 있다.
이렇게 명품이 국내에서 큰 화제거리로 대두되면서, 나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명품선호 소비행태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과연 이대로도 괜찮을 것인가? 물론 이러한 물음은 나뿐만 아니라 다수의 의견도 포함이 된 것이다. 서울 강북삼성병원 신경정신과 이시형 박사(67)는 명품 선호 풍조는 유행에 불과하다고 단언한다. 선진국에서도 명품 열풍이 한차례 지나갔고, 우리도 머지않아 명품에 대한 열정이 식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지금의 상황으로 보아 명품에 대한 사람들의 열기가 쉬이 식을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의견이 높아지고 있다. 점점 두드러지는 이러한 소비행태에 대해 그 원인과 사회적, 심리적 기제, 그리고 해결책까지 깊이 생각해보고자 이러한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곽현주(2002), 「해외유명상품의 과시적 소비에 관한 사회학적 고찰」,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김용자(1997), “신세대 가치관에서 본 소비행태와 마케팅 방향, 『신한리뷰』 제 10권 제 4호, 통권 38호, pp. 136~141.
김정훈(1993), “대학생들의 금전 관리 관련 행태와 인식”, 『소비생활연구』, 제 11호, pp. 43~53.
정준(1997), 『소비사회의 실상과 바람직한 소비문화의 모색』, 한국소비자 보호원.
성영신(1994). “한국인의 그릇된 물질주의와 과소비 유형”, 『한국심리학회』발표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