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준측량은 정해진 기준면(reference datum)으로부터 측정하려는 점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그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기준면(아래 測量法 第5條 참고)으로는 평균해수면(mean sea level ; MSL)이 가장 흔히 사용된다. 공학적 필요시 대부분의 경우 어떤 점을 기준으로 다른 점의 상대적인 높이(relative height)를 측정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토목사업의 경우 그 규모가 크며 주변 환경조건과 연계된 계획 및 시설이 되어야 하므로 MSL을 기준으로 하는 절대높이(absolute height 또는 표고 elevation)가 많이 사용된다.
수준측량은 레벨(level)을 이용한 직접수준측량과 연직각과 거리를 이용한 간접수준측량으로 삼각수준측량이 있다. 수준측량이란 수평 시준선을 만들 수 있는 기구를 이용하여 측점의 수직거리를 구하는 작업을 말한다.
수준측량은 정해진 기준면(reference datum)으로부터 측정하려는 점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그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기준면(아래 測量法 第5條 참고)으로는 평균해수면(mean sea level ; MSL)이 가장 흔히 사용된다. 공학적 필요시 대부분의 경우 어떤 점을 기준으로 다른 점의 상대적인 높이(relative height)를 측정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토목사업의 경우 그 규모가 크며 주변 환경조건과 연계된 계획 및 시설이 되어야 하므로 MSL을 기준으로 하는 절대높이(absolute height 또는 표고 elevation)가 많이 사용된다.
수준측량은 레벨(level)을 이용한 직접수준측량과 연직각과 거리를 이용한 간접수준측량으로 삼각수준측량이 있다. 수준측량이란 수평 시준선을 만들 수 있는 기구를 이용하여 측점의 수직거리를 구하는 작업을 말한다.
목차
1.개요
1)정의
2)지구의 곡률과 시준선의 굴절 영향
3)사용기구
4)기구의 조정
2.수준측량의 원리
1)정의
2)일반 수준측량
3)특수한 경우의 수준측량
4)간접 수준측량
3.수준측량의 오차와 정밀도
1)수준측량에 있어서의 오차
2)수준측량의 정도 및 허용오차
본문내용
① 기계고(HI ; Height of Instrument) - 시준고(HPC : Height of the Plane of Collimation)라고도 하며, 기준면(datum)에서 시준선까지의 높이를 말한다. 즉, 어느 점의
지반고+그 점의 후시 읽음 값이 된다.(그림 3-12 에서 A, B, C 3지점에 기계를 세운 관계로 3개의 값이 얻어짐)
② 후시(BS ; Back Sight) - 표고를 이미 알고 있는 점(또는 관측된 결과로부터 계산에 의해 표고가 구해진 점)에 표척을 세워서 얻은 표척의 읽음 값을 말하며, 정시(正視;plus sight)라고도 한다(그림 3-12에서 1A, 1B, 1C 의 표척 읽음 값).
③ 전시(FS ; Fore Sight) - 표고를 구하고자 하는 점에 표척을 세워서 얻은 읽음 값.(그림 3-12 에서 4A, 3B, 2C 의 표척 읽음 값)
④ 이기점(移器點 TP ; Turning Point) - 환점(CP ; Change Point)이라고도 하며, 고저차를 구하는 두 점이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에 기계를 옮겨 세워야 하므로, 이때 전시와 후시를 취하는 점으로서 기계를 옮겨 세우는 구간과 구간 사이의 높이를 연결 해 주는 점이다(그림 3-12 에서 CP ; change point).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