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수좋은날 소설 작품을 플롯에 맞게 분석한 작품입니다. 플롯의 개념부터 소설 구성 요소 하나하나 대비 분석한 레포트입니다. 많은 도움 되실 겁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 문
1. <운수좋은날> 개관
2. <운수좋은날>의 줄거리
3. <운수 좋은 날>의 플롯 분석
1) 텍스트의 플롯
2) 사건의 순환적 결합
3) 잘 짜여진 단일한 플롯
4) 반복적 사건과 반어적 플롯
Ⅲ 마치며
본문내용
3. <운수 좋은 날>의 플롯 분석
1) 텍스트의 플롯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은 다른 소설에 비해 짧으면서도 플롯의 특성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설정되어 있는 소설로 꼽힌다. 플롯은 인과관계에 의한 사건들의 결합체이므로, 여기에서는 사건을 중심으로 텍스트의 플롯을 요약할 것이다.
플롯에서 보면, 텍스트는 인력거꾼 김첨지가 겪은 1일 동안의 이야기이다. 그 이야기는 김첨지가 살고 있는 동소문에서 남대문정거장과 인사동 그리고 선술집을 거쳐서 자기 집으로 돌아오기까지의 사건으로 짜여져 있다.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기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①-㉠ 김첨지가 앞집 마나님을 전찻길까지 태워다 주고 30전을 벌다.
-㉡ 김첨지가 양복장이를 동광학교까지 태워다 주고 50전을 벌다.
②-㉠ 김첨지의 아내가 벌써 달 포가 넘도록 기침으로 쿨룩거리다.
-㉡ 김첨지의 아내가 열흘 전에 조밥을 먹고 체하여 병이 악화되다.
-㉢ 김첨지가 열흘 전에 좁쌀 한 되와 10전짜리 나무 한 단을 사다 주다.
-㉣ 김첨지의 아내가 사흘 전부터 설렁탕 국물을 마시고 싶다고 남편을 조르다.
시간 : 한 달 전―→열 흘 전→사흘 전→ 오늘 ――……→(순차적 진행)
사건 : ②-㉠――→②-㉡→②-㉢→ ②-㉣ →③-㉡→①-㉠ →……→ ⑥-㉣
공간 : 집――――――――――――――――――→동소문 →……→ 집
플롯은, 주제 및 문체와 함께 이른바 소설의 3 요소에 속하는 것으로서 소설작품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문학적 장치이다. 플롯이론의 궁극적 목표는 그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준거로 하여 실제 작품의 이해와 감상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서 다루어지는 플롯이론의 내용은 정의, 단계, 종류 혹은 유형, 그리고 요소를 범위로 하고 있다. 이러한 플롯이론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플롯이론의 이해와 이를 준거한 실제 작품의 이해와 감상`으로 나아가는 것이며,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은 이런 플롯을 공부하기에 가장 적합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
· ♣참고자료
· ㆍ유수열(2003), 텔레비전 연출론, p 132-135.
· ㆍ장소진(2000), 현대소설 플롯론, 보고사, p 21-75.
· ㆍ가와바타야스나리(2000), 소설의 구성, 건국대학교 출판부.
· ㆍWILLIAM MILLER(1995), 드라마 구성론, 나남.
· ㆍLilian R. Furst, 문우상 옮김(1987), 플롯, 서울대학교출판부.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