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프리다"의 전체 시놉시스 소개부터 해서
영화속 상징들과 촬영상의 기법을 분석한 글입니다.
목차
1. “프리다”를 선택한 이유
2. “프리다”의 줄거리
3. “프리다”의 영화적 기법 분석
⑴ 여러 가지 상징들
① 영화의 O.S.T.
② 영화의 색채
③ 프리다의 남성성
④ 기타
⑵ 프리다 칼로의 그림 및 애니메이션
① 교통사고를 당한 프리다가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과정
② 디에고와 프리다의 결혼 피로연
③ 뉴욕으로 떠난 부부
④ 다리를 잃는 프리다
⑤ 프리다의 죽음
⑷ 촬영 및 조명
① 고속촬영
② 핸드헬드
③ 원형 달리
⑤ 몽타주
⑥ 조명
본문내용
1. “프리다”를 선택한 이유
영화의 역사를 살펴보면, 영화는 경쟁해야만 하는 새로운 매체가 출현할 때마다 기술적으로 자기 진화를 거듭해왔다. 라디오, TV, 비디오, 컴퓨터, 인터넷 같은 매체가 출현하면서 영화는 무성에서 유성으로, 흑백에서 컬러로, 풀 스크린에서 와이드 스크린으로, 실사에서 컴퓨터 그래픽으로 새로운 선택을 해야만 했던 것이다. 또한 그러한 생존 전략이 채택될 때마다 영화는 늘 새로운 미학을 탐색해왔다. 이러한 점에서 “프리다”는 영화라는 매체가 발전하는 역사적 과정에서 혁명적인 역할을 하는 영화라고는 볼 수 없을지도 모른다. 오히려 수업 시간에 봤던 흑백 무성영화인 “모던 타임스(Modern Times)”가 이번 보고서의 목적에 더 잘 부합하는 영화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리다”를 선택한 이유는 이 영화가 회화라는 미술 장르를 영화라는 매체 속에 잘 활용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감히 말하자면, “프리다”는 영화와 미술이 서로의 경계를 허물고 점진적으로 뒤섞이는 하이브리드(hybrid) 현상의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영화가 프리다 칼로의 삶을 완벽하게 담아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즉 적극적인 여성으로서 극적인 삶을 살았던 프리다가 영화에서는 수동적인 여성으로 그려졌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나 같이 미술에 문외한인 사람이 이 영화를 통해 평탄치 않은 인생을 살았던 여류 화가 프리다의 존재를 알게 된 것만으로도 이 영화는 충분히 값어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2. “프리다”의 줄거리
영화 “프리다”에서 내가 주목하고 싶은 점은 그녀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 속에 멕시코의 여류화가 프리다 칼로(Frida Cahlo, 1907-1954)의 작품이 어떻게 녹아 있느냐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녀의 일대기를 다룬 이 작품의 줄거리를 간결하게나마 소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어떤 영화의 모든 형식과 미학은 궁극적으로 그 영화의 내러티브를 뒷받침하기 위한 것이므로 줄거리를 먼저 소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