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도가`,`감군은`,`용비어천가`를 중심으로 선초문학과 악장의 특징을 다룬 발표문입니다.
목차
서론
선초문학과 악장
본론
Ⅰ,악장의 시대적 배경 및 개념
Ⅱ,악장의 장르적 성격
Ⅲ.악장 문학 작품
1.신도가(新都歌)
2.감군은(感君恩)
3.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결론
본문내용
서론
조선 초기 국문 시가문학은 악장, 경기체가, 가사, 시조로 이루어져 있다. 악장, 경기체가, 가사는 모두 노래로 부르는 시이고 음악이면서 문학이다. 악장, 경기체가, 가사는 모두 노래로 부르는 시이고, 악(樂)이면서 문학이다. 그런데 음악으로서의 구실과 문학으로서의 구실을 견주어 본다면 단계적인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악장에서 경기체가로, 경기체가에서 가사로 올수록 음악으로서의 구실은 줄어들고 문학으로서의 구실이 확대된다.
특히 악장은 일반적으로 궁중에서 나라의 공식적인 행사에 쓰이는 시문을 광범위하게 지칭하는 것으로 조선왕조의 창업과 더불어 통치질서의 상징인 예악(禮樂)을 정비하고자 새로 지은 노래이다. 선초악장(鮮初樂章)은 민간의 노래를 채집하여 다듬거나 창작된 시작품을 입악(入樂)하여 공식적인 자리의 음악으로 사용하던 동양권의 음악과 문학의 경계가 애매하였던 동양의 전통을 따르면서도 그 나름의 독자성을 이룩하여 집성된 분야라 할 수 있다.
발표조는 보고서를 통해 예악문화의 산물인 선초악장의 형성과정 및 장르적 성격을 작품분석과 함께 알아봄으로써 악장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한다.
본론
1. 악장의 시대적 배경 및 개념
고려말의 혼란기에 신흥사대부들의 추대형식을 빌어서 역성혁명(易姓革命)으로 건국한 조선왕조가 우선 해결해야 될 당면과제는 고려의 여러 가지 사회적 모순을 시급히 해결하고 동요된 민심을 수습하여 절대적인 주권을 확립하는 일이었다. 조선왕조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치이념(統治理念)을 불교(佛敎)에서 유교(儒敎)로 바꾸고 정치적 쇄신(刷新)을 꾀하였다. 이와 같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서 신흥사대부들에 의해 새로운 사회적 가치 질서로 등장한 예악은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위한 치국(治國)의 기본강령으로 볼 수 있다. 즉, 조선왕조의 통치이념의 유학에 그 철학적 기반을 두고 출발한 것이라면, 그 통치에 따르기 위한 질서의식과 행동규범이 곧 예악인 것이다.
악장은 유교사상이 치국의 이념으로 제시되면서 등장한 특수한 목적문학이었다. 예악의 정비를 기본으로 하는 과정에서 탄생한 악장은 유학의 독특한 원리와 내용을 특징으로 한다. 치국의 방편이 제시될 뿐만 아니라 유학의 원리가 이면에 존재하며 왕조의 영원무궁한 발전을 기원하고 송축하는 형태의 현실적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적극적인 문학이었다. 따라서 악장은 왕조가 창업할 때와 역대 왕들의 즉위 시, 또는 국가의 태평성대를 구가하는 방편으로 끊임없이 제작되어 왔다.
참고 자료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1994
김영주, 단국대학교, 선초악장의 문학적 성격, 한국고전시가사, 집문당, 1997
김승찬외, 한국문학개론, 삼지원, 1995
장덕순, 「국문학통론」 , 박이정 1995
조규익, 선초악장의 국문학적 위상, 고려가요 악장연구, 태학사, 1997
장덕순, 「훈민정음창제와 <龍歌>」, 『한국 고전문학의 이해』, 박이정, p.122
조병화외, 한국의 고전시가 해석과 감상, 글벗사 1995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