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조선시대의 교육
- 최초 등록일
- 2005.12.12
- 최종 저작일
- 2005.05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조선시대의 교육에 관한 레포트입니다.
좋은 학점 받았습니다.^^
목차
<머리말>
<본문>
Ⅰ. 조선시대의 교육이념
Ⅱ. 조선시대의 교육제도와 교육과정
Ⅲ. 왕세자 교육기관, 세자시강원
<맺음말>
본문내용
<머리말>
우리나라의 형식적 교육은 고대의 고구려에서 ‘태학’을 세운 이래 약 1500년의 긴 역사를 지니고 있다. 오늘의 교육은 제도적 특징에 있어서 그 전통적 모습을 많이 잃어버리고 있다. 물론 전통적 요인이 모두 없어졌다고 단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교육은 적어도 ‘교육 받은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는 기준과 특징, 교육활동의 내용과 방법 그리고 교육제도의 구조적 특징과 규칙 등에 있어서 전통사회의 요소들보다는 서구의 근대사회에서 발달한 공교육제도의 특징을 훨씬 더 많이 보여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100여전에 있었던 행정체제, 교육기관, 교육내용으로서, 지금 남아 있는 것은 거의 없다. 그러나 자녀들의 교육에 대한 열정이나 도덕성의 발달을 교육의 가장 중심이 되는 과제로 인식하는 경향 등은 전통적 교육문화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통사회의 교육이 제도적으로, 사상적으로 혹은 실천적으로 단절된 것이라고 하더라도 오늘의 교육과 삶에 아무런 의미를 지니고 못한다고 할 것은 결코 아니다. 오늘의 교육과 삶이 그야말로 창세기적 상황에서 시작된 것이 아니라면, 우리는 전통과 연속된 삶을 살고 있으며 오늘의 교육도 그 흐름 속에서 진행된 것이다. 제도와 사상과 실천의 불연속성 그 자체가 역사적 과정이다. 오늘의 교육이 아무리 외래적인 것의 이식이라고 하더라도 그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의 전통적인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특히 지금 살고 있는 시대의 바로 전 시대인 조선시대의 교육에 대해 우리는 알아볼 필요가 있다. 한국의 제도적 교육을 지배하는 전통적 문화는 유가사상이 지향하는 바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데 가장 잘 나타난 시대가 조선시대이기 때문이다.
<본문>
Ⅰ. 조선시대의 교육이념
우리나라가 처음 받아들인 유학은 중국에서 한나라 이래 제도화된 유교였다. 그리고 조선시대 정치이데올로기로 크게 부각된 유학은 인간 공자의 사상이 아닌 공자의 유교, 즉 성리학이었다. 조선시대는 충효를 근본으로 삼강오륜을 내세우고, 상하의 계급과 질서를 존중하는 유교가 정치이념으로 채택되어 크게 장려되었다.
참고 자료
한국교육사연구, 손인수, 문음사
한국교육사, 서울대학교연구소, 교육과학사
조선의 왕세자 교육, 김문식 · 김정호, 김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