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와 저술
2. 화엄사상의 근본교설
3. 의상의 화엄사상
<의상의 육상원융사상>
<의상의 중도실제사상(中道實際思想)>
4. 화엄사상과 윤리
5. 화엄사상과 신라의 삼국통일
6. 의상 화엄사상의 특징
7. 의상 화엄사상의 사회적 성격
본문내용
1. 생애와 저술
의상(義湘 ; 625~702)은 원효와 함께 신라 불교를 대표하는 고승이다. 그의 속성은 김씨이고 한신()의 아들이다. 그는 20세에 출가하였다. 37세 때 원효와 함께 당나라로 유학의 길을 떠났다. 도중에 원효는 크게 깨닫고 신라로 돌아왔지만, 그는 유학의 뜻을 굽히지 않았다. 중국에서 그는 중국 화엄종의 제 2조인 지엄(智儼)의 문하에서 법장(法藏)과 함께 화엄학을 전수 받았다. 10년만에 귀국한 그는 신라 화엄종을 창설하고 海東華嚴의 개조(開祖)가 되었다. 그가 귀국하였던 것은 당시 당나라가 신라를 침략하려고 기도하고 있음을 탐지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문무왕에게 이러한 사실을 고하여 사전에 방비할 수 있었다. 그러한 공으로 왕명에 따라 부석사를 창건하였고, 또한 해인사, 화엄사, 갑사, 범어사, 옥천사 등의 이른바 화엄십찰(華嚴十刹)을 창건하였다.
그는 원효와는 달리 저술을 별로 남기지 않았다. 이것이 그의 불교철학적 깊이에도 불구하고 원효보다 덜 주목을 받는 이유라 생각된다. 주요 저서로는 <화엄일승법계도기(華嚴一乘法界圖記)><화엄십문간법관(華嚴十門看法觀)><아마타경의기> 등이 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화엄일승법계도기>인데, 이는 당나라 지엄 스님 밑에서 화엄학을 공부할 때 <화엄경> 및 <십지론(十地論)>에서 화엄원교(華嚴圓敎)의 종요를 간추려 7언 30구 210자의 인권 안에 담은 것으로서, 화엄사상을 결정시킨 그의 능력은 신기에 가깝다.
2. 화엄사상의 근본교설
화엄교리의 중심은 전 세계가 일즉일체(一卽一切)․ 일체즉일(一切卽一)의 무한의 관계를 갖는 원융무애(圓融無碍)를 설하는 법계연기(法界緣起)에 있다. 여기서 법계(法界)란, 총상이어서 理와 事를 포괄하는 것이다. 그리고 연기는 법계의 體의 대용, 즉 만사와 만물을 파생하는 작용을 말한다. 흔히 법계를 네 가지로 나누어 설명한다. 즉 사법계 ․ 이법계 ․ 이사무애법계 ․ 사사무애법계가 그것이다
참고자료
· 한국철학사상사 / 한국철학사연구회 / 한울 / 1999
· 한국 전통윤리사상의 이해 / 조현규 / 새문사 / 2001
· 義湘 : 그의 생애와 화엄사상 / 김두진 / 民音社 / 199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