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증상
1) 동통 월경통 및 골반통
2) 성교통
3) 임신율의 저하 혹은 불임
4) 그외 내분비학적 이상
4. 치료
1) CA-125 검사
2) 진단
3) 자궁내막증의 분류방법
4) 치료
5. 자궁내막증의 재발
6. 간호
본문내용
1. 자궁내막종(endometrioma)란?
자궁내막증이 난소에 생기면서 만드는 것이다. 자궁내막증은 자궁내벽의 점막인 자궁내막이 자궁 외의 다른 부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2. 자궁내막증이 생기는 원인과 발생 빈도
1) 원인
(1) 월경의 역류 및 자궁관으로의 이동 이론
여성의 70-90%는 월경시에 월경혈이 역류한다. 월경혈의 일부가 나팔관을 통해 골반내로 들어간다는 것인데 이 때 자궁내막조직이 월경혈과 같이 골반내로 흘러든 뒤 골반에 자궁내막증이 생긴다는 가설이다.
(2) 혈행성 또는 임파성 전이설
골반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의 자궁내막증은 자궁내막 조직의 혈행성 또는 임파성 전이로 설명될 수 있으며 난소의 자궁내막증도 자궁에서의 임파성 전이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가설이다.
(3) 체강화선 이론
조직 자체가 자궁내막으로 발달될 수 있는 유전적 물질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에스트로젠 치료를 받은 남성에서의 자궁내막증이 보고되는 것에 근거를 두는 가설이다.
(4) 면역학적 요인
유전적 또는 면역학적 요인이 이 질병에의 감수성에 영향을 미친 다는 것이다.
2) 발생 빈도
전체 가임기 여성의 10-15%에서 자궁내막증이 있으며, 불임 여성에서는 약 30~70%에서 자궁내막증을 가지고 있다. 15-64세 사이의 여성 1,000명 중 4명이 매년 자궁내막증으로 입원 치료를 받게 되며 이는 유방암 환자의 수보다 약간 많은 정도이다. 자궁내막증이 본질적으로 초경 이전에는 발생하지 않는 반면 최근 10대에서의 발생은 그 보고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중 많은 수에서 유출로의 폐색등 해부학적 기형을 동반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3. 증상
1) 동통 월경통 및 골반통
자궁내막증의 가장 흔한 증상으로 월경이 시작되기전에 발생하여 대개 월경 기간 내내 지속되며 양측으로 있는 경우가 흔하다.
2) 성교통
유착된 골반 조직의 긴장, 이환된 난소나 자궁 골반 인대에 대한 압박등에 의하여 온다.
3) 임신율의 저하 혹은 불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