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전자투표의 도입을 시발점으로 하는 전자민주주의의 속성을 논하고, 한국 전자민주주의의 속성을 검토한 후 대의제 민주주의를 보완하는 방법으로서의 전자민주주의를 앞으로 한국의 민주주의가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제시한다.
목차
제 1장 서론
제 1절 연구목적
제 2절 연구방법
제 2장 본론
제 1절 전자투표란 무엇인가?
1. 전자투표의 개념 및 유형
2. 국내와 외국의 전자투표의 도입 사례
제 2절 전자투표의 가능성
1. 전자민주주의
2. 직접민주주의와 대의제 민주주의
3. 한국의 전자민주주의
제 3장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1월 17일 언론을 통해 2008년 18대 총선부터 전자투표를 도입할 것이며, 2012년 19대 총선부터는 유권자가 투표소에 가지 않더라도 개인용 컴퓨터와 노트북, 휴대전화, PDA 등을 통해서 선거를 치를 수 있는 소위 유비쿼터스 시대의 전자투표를 실시하겠다는 내용을 발표하였다. 우리나라의 앞선 정보기술과 우수한 인프라, 낮은 투표율과 고비용의 선거구조를 고려해 볼 때 전자투표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는 것이 선관위의 입장이다.
투표는 대의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가장 보편적인 수단으로 정치 권력을 정당화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나 오늘날 점점 낮아지는 투표율은 정권의 정당성 확보에 의문을 갖게 하고 있으며, 고비용 저효율의 선거제도는, 지방 자치제도의 실시와 각종 보궐선거 등의 잦은 선거를 치러내는 데 커다란 장애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자투표의 도입은 인터넷과 기타 정보통신 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발달된 한국 사회에서 어쩌면 당연한 수순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전자투표의 도입은 단순히 국민참여를 증가시키고 투표 방법을 바꾸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참고 자료
김신동, “박동진 전자투표제의 효율적 도입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2005.3
윤영민, “전자선거: 민주적 과정의 재설계, 전자투표 국제세미나 발제 논문”, 2005.2
선거관리 위원회, “전자투표 시행을 위한 소고”, 2003.9
이현출, “전자투표 도입의 문제점과 선행조건”, 2003.11
박기수, “전자투표제의 도입방안”, 2002.6
고선규, “IT와 정치: 전자투표와 전자민주주의” 세종연구소, 2003.4
박기수, “전자투표제의 도입방안”, 2002.6
Government Technology, 2002.10
김재광, “전자투표의 도입에 따른 관련법제 정비방안”, 2001.7
유석진, “정보화와 민주주의”, 전자민주주의연구원, 1997 세미나 자료
한국전산원, “전자민주주의 개념정립과 전자여론수렴 방안”’ 1997. 12
이유진, “사이버 민주주의, 꿈인가 현실인가,” 1996.10, http://psychoj.x-y.net
구경서, “사이버정치의 현실과 방향성: 한국정치의 과제”, 1999
민경배, “전자 민주주의의 현황과 전망”, 사이버문화연구소
조권중, “참여정부와 전자민주주의”, 지역정보화 통권 제22호, 2003